![]() |
▲외투기업들이 답한 ‘부담 큰 노동현안’. 20일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외투기업들은 ‘인건비 상승’, ‘경직된 제도’, ‘대립적 노사관계’ 등을 한국에서 경영에 있어 부담되는 노동현안으로 인식했다. |
대한상공회의소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주한독일상공회의소, 한국외국기업협회 소속 회원사인 외국인투자기업 20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외투기업 국내 노동환경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외투기업들은 ‘최저임금·임금 상승 등 인건비 부담 증가’(37.6%), 여전히 경직적인 근로시간제도’(23.8%), ‘대립·투쟁적 노사관계’(22.8%) 등을 불편해했다. 이 외에도 ‘고용·해고 경직성’(18.8%), ‘과도한 노동형벌 규정’(14.9%), ‘인력활용제한’(12.4%) 등 의견이 나왔다.
![]() |
▲외투기업 원하는 노동개혁 과제. 20일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외투기업들은 ‘인건비 상승’, ‘경직된 제도’, ‘대립적 노사관계’ 등을 한국에서 경영에 있어 부담되는 노동현안으로 인식했다. |
외투기업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동개혁과 노사 법치주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정부의 노동개혁이 한국의 투자매력도에 미칠 영향을 묻는 설문에는 응답기업의 50.5%가 ‘투자매력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은 7.4%에 그쳤다.
또 법과 원칙적 대응으로 불법·부당한 노동관행이 개선될 경우에도 기업의 55%가 투자매력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한 반면 부정적 응답(떨어질 것)은 3%에 불과했다.
외투기업들은 한국에 투자한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95%)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의 97.5%는 향후 한국에 대한 투자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81.2%)하거나 ‘더욱 확대’(16.3%)할 것이라고 답했다.
외투기업은 한국에 투자함에 있어 내수 및 인접 수출시장 진출을 의미하는 ‘시장환경’(60.4%)을 가장 주요한 투자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물류 환경’(30.7%), ‘금융 및 조세환경’(17.8%)이 뒤따랐다. ‘노동환경’을 투자요인으로 꼽은 외투기업은 16.8%에 그쳤다.
외투기업의 본사가 있는 국가(또는 대표 투자국)의 노동시장이 한국의 노동시장보다 경쟁력이 높다는 응답이 37.7%로 한국 노동시장이 더 경쟁력 있다는 응답(25.2%)보다 많았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최근 미중갈등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중국의 대안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가 확대되고 있다"며 "일시적 해프닝이 아닌 중국의 대안투자국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규제완화, 지원정책과 함께 노동개혁을 통해 노동시장 경쟁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