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한은 "美 두 차례 금리 인상 시사, 시장 반응과 간극…면밀히 모니터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5 09:04
한국은행

▲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한국은행은 1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으나 시장 반응과 다소 간극이 있는 만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했다.

한은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이승헌 한은 부총재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13∼14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한은은 미 FOMC가 시장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연 5.00∼5.25%로 동결했다며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연준의 매파적(hawkish)인 스탠스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이 1회에 그칠 수 있다는 기대 등으로 미 국채금리가 하락하고 미 달러화는 약세로 마감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근원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어 거의 모든 참석자가 제약적인 통화정책 지속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번 정책금리 동결 결정은 금리인상 속도를 줄이기 위한 차원이지 인상 사이클 중단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미 FOMC는 올해 정책금리 전망 중간값을 5.60%로 3월 회의(5.10%)에 비해 0.50%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 부총재는 "연준이 이번 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했으나 연말 정책금리 전망 점도표 상향,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 등을 통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부인한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최근 호주, 캐나다 등이 금리인상을 재개하는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스탠스가 강화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시장 반응은 이러한 통화정책 스탠스와는 다소 간극이 있는데, 향후 발표되는 주요 경제지표 등에 따라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변화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관련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