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K-제약바이오, 바이오USA서 글로벌 위상 과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2 16:50

참가기업·참가자 수, 개최국 미국 이어 전체 2위 차지



'코리아 나잇 리셉션' 등 한국 주최 행사마다 문전성시



비즈니스 미팅 건수도 지난해 능가...계약 성과 기대감

2023061201000555400027021

▲7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 전시장 내 한국관 모습.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폐막한 세계 최대 바이오 전시회인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2023)에서 ‘K-제약·바이오’의 글로벌 위상을 재확인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7일(현지시간) 보스턴에서 BIO USA와 연계해 제약바이오협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7개 기관이 공동주최한 ‘코리아 나잇 리셉션’에서 당초 사전등록한 508명을 넘는 700여명이 참석해 문전성시를 이뤘다고 12일 밝혔다.

이어 9일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앵커(주축) 대학으로 불리는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산학협력프로그램(ILP) 본관에서 제약바이오협회와 일동제약, 유한양행, 종근당, 휴온스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MIT 이그재큐티브 브리핑’에서 K-제약바이오 역량을 과시했다.

국내 참가 제약사와 MIT 연구진들은 ‘프로택(PROTAC, 세포 내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파괴해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새로운 신약개발 플랫폼)’, ‘오가노이드(동물실험을 대체하는 새로운 임상실험 기술)’ 등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앞서 6일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중심기관 중 하나인 케임브리지 이노베이션센터(CIC)에서 주미한국대사관과 보건산업진흥원 미국지사, CIC 벤처카페가 공동개최한 ‘코리아 바이오 이노베이션 나잇’에도 국내 바이오기업의 IR 발표를 듣기 위한 인파가 몰렸다.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BIO USA 행사장에 미국 다음으로 많은 500여 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하고, 코리아 나잇 리셉션도 문전성시를 이루는 등 현지에서 K-바이오의 위상과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며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현지 네트워크를 강화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 USA에는 총 85개국 1만8000여명이 참가해 코로나 이후 3년만에 전면 대면행사로 열렸던 지난해(60개)보다 참가국 수에서 42% 늘어난 85개를, 참가자 수도 지난해 1만3100명에서 전년대비 37% 증가한 1만8000명을 기록했다.

올해 한국은 참가기업 544개, 참가자 1000여명으로, 참가기업이 지난해 250개보다 2배 이상 늘었을 뿐 아니라, 올해 참가기업과 참가자 수 모두 미국에 이어 전체 참가기업 중 2위를 차지했다. 전통 제약강국인 유럽은 물론 중국과 일본도 앞지른 규모인 셈이다.

또한, 한국바이오협회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함께 바이오 USA에서 공동운영한 한국관에서는 총 16개 우리 바이오텍이 총 394건의 공식 파트너링을 성사시켰다. 이 역시 지난해 240건보다 64%나 증가한 수치이다. 바이오 USA 전체로는 총 5057건의 공식 파트너링이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는 파트너링 미팅의 증가가 향후 기술수출 계약 체결 등 성과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바이오 USA에서 전체 참가기업 중 두 번째로 큰 전시부스를 운영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행사기간 중 화이자와 자체 단일계약 규모로는 역대 최대인 총 5350억원 규모의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밖에, 셀트리온과 롯데바이오로직스도 각각 수백 건의 비즈니스 미팅을 가지며 기대 이상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을 받았다는 평가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1분기에만 최근 5년새 최다인 총 8건의 기술수출이 이뤄졌는데 올해 전체로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미국 바이오클러스터 입주기업 등 글로벌 기업들과 기술교류 및 투자유치가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ch005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