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MSCI홈페이지 갈무리 |
8일(현지 시간) MSCI는 시장 접근성 평가 결과에서 한국을 여전히 신흥시장(EM)으로 분류했다. MSCI의 시장 조정은 매년 6월 관찰대상국 등재 후 승격 여부 확정, 반영의 순서로 이어진다. 올해 불발로 승격 여부는 내후년으로 미뤄졌다.
MSCI지수는 미국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이 발표하는 글로벌 주가지수로, 각국 증시를 규모·제도 수준에 따라 선진(DM), 신흥(EM), 프런티어(FM) 시장으로 구분한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MSCI측은 ▲금융위원회의 2단계 영문공시 의무화 방안(2024~2026년) ▲해외소재 외국 금융기관의 국내 외환시장 직접 참여 API 제공(2024년 초 시범운영)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2023년 12월) ▲옴니버스 계좌(2024년 이전) ▲장외거래 사후신고 대상 범위 확대(2024년 이전) 등의 제도적 개선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재평가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종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는 예상되었던 수순으로 그동안 지적 받았던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 배당 정보 사전공개, 외환시장 개장 연장 등 제도적 개선안이 올해 초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며 "일정상으로 2024년부터 지적받았던 사항의 개선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에 있어 당장의 시장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하반기 제도적 개선안 발표가 이어지고 내년 초 시범운영까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내년 관찰대상국 등재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며 "산재한 MSCI DM 편입과 기업지배구조 개선 관련 이벤트는 국내증시 재평가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