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강서구 서울창업허브 엠플러스에서 열린 제5차 수출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정부가 미국·일본과 제약·바이오 산업 국제협력 관계를 ‘파트너십’을 넘어 ‘동맹’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어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31일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계획 공고’를 게시하고, 특구 유치를 희망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 모집에 들어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국내 최초로 네거티브 규제(명시된 규제 외에 나머지는 모두 허용하는 규제방식)가 전면 적용되는 특구로, 이 지정계획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광역지자체 2곳을 시범 특구로 지정하고 2027년까지 권역별로 10개 특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주목할 점은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과 별도로 병행 추진하는 ‘해외 실증거점 조성사업’이다. 이 사업은 국내에서 규제 때문에 진행이 어려운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아예 해외 실증거점 지역에 나가 개발해 출시까지 하도록 연구개발부터 인증획득과 출시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국내 글로벌 혁신특구는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비수도권에 조성하지만 해외에 있는 클러스터(산업단지)를 마치 우리 혁신특구처럼 활용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중기부는 해외 실증거점 조성사업의 1호 후보로 바이오 분야를 낙점했고, 해외 실증거점 후보지는 세계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와 일본 가나가와(神奈川)현 쇼난 지역에 있는 ‘아이파크 인스티튜트’를 점찍어 둔 상태다.
해외 실증거점 활용 방법은 다양하다. 세 나라의 바이오기업이 상대방 나라에 있는 제약사에서 신약 임상시험을 할 수 있고, 기업뿐 아니라 대학도 상대국 병원에서 신약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한국·미국·일본의 바이오클러스터를 넘나들며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규제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과 연계해 해외 실증거점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바이오는 이미 정해졌고, 나머지 전체 산업 분야 중 하나를 추가 선택해 총 2개 분야에서 해외 실증거점 조성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일본 아이파크와 협의 중"이라며 "올해 하반기에 바이오 분야 해외 실증거점 조성사업의 세부 계획을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여 말했다.
앞서 중기부는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 미국 순방 때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중추기관인 랩센트럴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올해 하반기에는 일본 아이파크 인스티튜트와 상호실증 등 협업에 관한 공식 협정을 체결해 ‘한-미-일 삼각 바이오클러스터’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제5차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를 언급하고 "연구기관간 국제적 협력체계에 정부도 많은 관심을 갖고 투자해야 한다"며 "이제 파트너십이 아니라 얼라이언스(동맹) 개념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정부의 움직임에 제약·바이오업계도 민간 차원에서 미·일 바이오클러스터와 교류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4월 미국바이오협회(BIO)와 두 협회간 첫 MOU를 체결한데 이어, 이달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바이오 USA’와 오는 7월 서울에서 열리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전시회에서 상호 교류를 기존보다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바이오산업이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산업으로 부상한 만큼 주요 동맹국과 바이오 협력강화를 환영한다"며 "바이오기술 선진국인 미국·일본과 교류 확대는 선진기술 도입 등 K-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