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깡통전세 주범 ‘전세가율 80%’ 빌라 여전히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01 13:19

다방, 수도권 신축 연립·다세대 매매·전세 동시거래 분석



대다수 지역서 80% 웃돈 것 나타나…올해도 80% 이상 다수



올해와 내년 전세금 미반환 우려 커져…세입자, 꼼꼼히 확인해야

2023060101000025700000461

▲다방에 따르면 평균 전세가율 하락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역은 여전히 전세가율 80%가 넘는다. 서울 강서구 일대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신축 연립·다세대 평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으나, 일부 지역은 여전히 80% 이상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내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2021년에서 2023년까지 서울·경기·인천의 신축 연립·다세대 중 같은 해 매매와 전세 거래가 동시에 발생한 건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평균 전세가율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이듬해까지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균 전세가율이 80% 이상의 수치를 기록했으며, 올해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전세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2021년 강서구와 양천구(99%), 금천구(98%), 구로구(96%), 2022년에는 종로구(101%), 강서구(97%), 양천구·금천구·관악구(96%) 순이었다. 2023년에는 관악구(99%), 양천구(97%), 강서구(95%)로 나타났다.

경기 평균 전세가율은 2021년 하남시(113%), 수원 팔달구(101%), 고양 일산동구·수원 영통구(100%) 순으로 높았으며, 2022년에는 화성시(107%), 오산시(99%), 연천군(98%), 의왕시·안산 단원구(97%), 안산 상록구·용인 처인구(92%) 순이었다. 2023년 현재는 용인기흥구(104%), 의왕시(91%), 고양덕양구(81%)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2021년 남동구(100%), 연수구(99%), 계양구(98%), 서구(95%), 부평구(93%) 순이었으며, 2022년에는 계양구(100%), 부평구(93%)순으로 확인됐다.

최근 3년간 신축 연립·다세대 거래 중 전세와 매매가 동시에 발생한 건을 분석한 결과 평균 전세가율 80% 이상인 매물의 거래량 비중은 서울이 2021년 81%에서 2022년 74%로, 경기는 78%에서 66%로, 인천은 90%에서 53%로 각각 감소했으나, 지속적으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서울과 경기 각각 51%, 42%로 나타났다.

이중 평균 전세가율 80% 이상인 매물의 거래량 비중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2021년에는 강서구·양천구(99%), 금천구(97%), 관악구(96%)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2022년에는 관악구·금천구·양천구(97%), 강서구(96%), 구로구·도봉구(9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해는 관악구·구로구·양천구는 100%, 강서구 96%로 전세가율이 높은 매물의 전세 거래가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