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근주

kkjoo0912@ekn.kr

강근주기자 기사모음




이동환 고양시장 "시장실 원당 현청사에 둔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17 13:39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16일 택시조합 소통간담회 주재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16일 택시조합 소통간담회 주재.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비좁은 시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석 신청사를 활용하면서도 시장실은 원당 현 청사에 남아 직무를 수행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택시조합과 소통간담회에서 이동환 시장은 백석 신청사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예산을 부담하지 않는 신청사 재검토는 시민과 약속한 공약"이라며 "기부채납 받은 백석 신청사를 활용하면서도 시장실은 원당 현 청사에 남아 시민만을 바라보며 고양 미래를 위한 현안을 풀어나가겠다"고 답했다.

고양시는 민선8기 들어 ‘신청사 재검토’ 공약 이행을 위해 전문가를 중심으로 신청사TF를 구성했고, 수없는 논의와 토론을 거쳐 주교동에 신청사를 건립하지 않고 백석 신청사 및 원당 현 청사 활용이란 재구조화를 결정했다. 이런 결정에 대해 이동환 시장은 "시민 세금으로 만든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자원이 거의 없는 한국 경제는 원자재가격 압력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현재 글로벌 경제 불황과 유가급등, 원자재값 폭등으로 인해 주교동 신청사 결정 당시 추정한 2950억원보다 1000억원이 상회하는 약 4000억원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인구가 비슷한 성남시(62.2%)보다 무려 절반인 32.8%라는 고양시의 낮은 재정자립도로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성남시도 2009년 신청사 건립 당시 3222억원이란 막대한 자체재원 투입으로 ‘호화 청사’ 논란을 키웠다.

이에 따라 2022년 11월 법원 판결에 의해 고양시로 귀속 결정된 백석동 요진 업무빌딩은 주교동 신청사 건립 시에는 검토하지 못한 새로운 선택지가 됐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주교동 신청사 건립안은 당초 시청사입지선정위가 선정한 주교동 주차장 부지가 아닌 그 일대 그린벨트를 해제해 건립하는 것으로 결정한 점, 아직 대부분이 사유지인 부지를 매입하지 않은 점, 시청사를 7개 동으로 분산 설계한 점 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16일 택시조합 소통간담회 주재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16일 택시조합 소통간담회 주재. 사진제공=고양특례시

이동환 시장은 또한 "약 40년 전 군청 시절 건축한 청사 규모는 사무공간이 턱없이 부족하고 10여개 외부청사가 산재해 매년 막대한 임대료 지급은 물론 업무 효율성 저하 및 민원인 불편 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조속한 백석동 신청사 활용은 필요하고, 이는 오직 고양시와 고양시민 이익을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동환 시장은 이어 "백석 신청사로 인한 원당지역 공동화는 사실과 다른 이야기"라며 "원당 현 청사는 그대로 남아 문화예술회관과 체육관이 있는 복합문화청사 기능을 수행하고, 사업소 및 산하기관 등을 입주시키면 백석동 신청사로 인한 행정기관과 직원 비중은 크게 차이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시장실은 원당 현 청사에 남아 ‘시민만 바라보고 일하겠습니다’는 민선8기 시정철학을 바탕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기업도시 조성, 노후계획도시 정비, 광역교통 확충 등 고양시의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현안을 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kkjoo0912@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