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한국전력공사는 부동산 자산 매각, 전체 임직원 임금 동결 추진 등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7천억원 규모의 재무 개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이러한 내용의 적자난 해소 자구책 발표에 맞춰 정부에 사의 표명했다. 사진은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에 있는 한전 본사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예상대로 올해 1분기에만 5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8분기 연속 적자로 누적적자는 44조원에 달한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제때 반영되지 못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전은 12일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6조 177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1분기 매출액은 21조 5940억원, 영업비용은 27조 7716억원이다.당초 시장에서는 5조원대의 영업손실이 예상됐었다. 전년 동기에 비해 적자 폭은 1조 6093억원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한전은 2021년 2분기에 7529억원의 적자를 낸 이후 8분기 연속으로 적자행을 이어가고 있다. 한전은 연간 기준으로 2021년 5조8000억원, 2022년 32조 6000억원의 적자를 낸 바 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5조 1299억원 증가했다. 1분기 전기요금을 ㎾h당 13.1원 인상한 데 따른 매출액 증가라고 한전은 설명했다.
영업비용은 연료비와 전력구입비 증가 등으로 3조 5206억원 늘었다.
한전의 이 같은 재무상황을 고려해 정부·여당은 오는 15일 당정협의회를 열어 전기요금 인상안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한전은 이날 발전 6사를 포함한 전력그룹사를 통틀어 25조 7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발표했다.
한전은 "사상 최대 재정건전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자산 추가 매각, 조직·인력 혁신, 임금 반납 등 특단의 자구 노력을 속도감 있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전은 "전력 판매가격이 전력 구입가격보다 낮아 한전채 발행이 증가하면서 금융시장이 왜곡되고 에너지산업 생태계가 불안해지고 있다"며 "국가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기 때문에 정부와 협의해 전기요금 적기 조정을 추진하고, 취약계층의 부담완화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