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사진제공=경기북부청 |
이번 사업은 축산농가 소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모니터링-원격제어 등 자동화 시설-장비를 보급해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한다.
경기도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도내 169개 농가를 대상으로 사전 컨설팅, 서류심사, 전문가 심의 등 절차를 진행해 고양시 등 14개 시-군 91개 농가를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축종별로는 △한우 20개 농가 △낙농 40개 농가 △양돈 18개 농가 △양계 11개 농가 △육우 1개 농가 △육용오리 1농가 등이다.
다른 시-도의 경우 농식품부 사업 지침에 따라 국비 30%, 융자 50%, 자부담 20% 비율로 지원하지만 경기도는 국비 30%, 지방비 20%, 융자 30%, 자부담 20% 비율로 지원해 농가 부담을 덜어주는 데 주력했다.
선정된 91개 농가는 축종별 사육두수를 고려해 농가 1곳당 최대 15억원 한도 내에서 축산ICT 융복합 장비를 지원받아 ‘스마트 축사’ 조성에 사용할 수 있다.
지원 항목은 생산경영관리 프로그램, 축사 내?외부 환경 모니터링 및 조절 장비, CCTV(실시간 원격제어, 모니터링 가능 제품에 한함), 원격(또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자동화 장비 등이다. 경기도는 축산농가에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확대 보급해 ‘생산성 향상 10%’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용기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스마트 축산기술을 도입해 생산성 향상과 동물복지를 모두 고려한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환경을 조성한다"며 "환경관리, 사양관리, 경영관리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축사시설을 보급-확대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적극 지원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