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K-술 육성에 국산 위스키 '낙동강 오리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14 10:42
조하니 기자

▲조하니 유통중기부 유통팀 기자.

로얄살루트, 산토리 등 수대에 걸쳐 명성을 유지하는 외국산 위스키들을 보고 있노라면 한 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우리한테도 세계에 내놓을 만한 대표 위스키가 있는가라고.

코로나19로 홈술 열풍이 불면서 소비 주도층이 20~30대 MZ세대까지 확산되는데 힘입어 국내 위스키 시장이 다시 부활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을 대표하는 ‘K-위스키’는 찾아보기 힘들다. 윈저·임페리얼 등 이른바 ‘로컬 위스키’로 불리는 제품도 해외에서 원액을 들여와 국내에서 병입하는 수준에 그쳐 엄밀히 말하면 100% K-위스키라고 볼 수 없다.

그나마 쓰리소사이어티·김창수 위스키 등 소규모 양조장 위주로 국산 위스키를 선보이고 있으나 극소량 출시돼 시장에서 존재가 미미하다. 다행히 국산 위스키라는 희소성 타이틀에 힘입어 출시되기를 기다려 금방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는 오픈런 현상을 누리거나 중고시장에서 웃돈거래되는 ‘귀한 대접’을 맞고 있다.

지난해부터 롯데칠성음료·신세계L&B 등 대기업들이 위스키 증류소 설립에 나서면서 국내 위스키 시장에 ‘K-위스키’ 새 바람이 불 것이라는 조심스런 기대도 나온다.

그러나, 사업 초기에는 적극적인 투자나 제품 개발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 현행 주세 체계와 제조 비용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생산할 때 수지타산에 맞지 않아 가격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오죽하면 주류업계에서 "100만원대 고급 위스키를 싸게 마시는 방법은 저비용 항공사(LCC)비행기를 타고 일본으로 가서 먹고 오는 것"이라는 자조 섞인 말이 나돌 정도일까.

술의 양을 기준으로 위스키 세금을 매기는 ‘종량세’의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가격에 따라 세금을 매기는 ‘종가세’를 적용해 고급 술을 만드는데 불리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현행 주세 체계가 국산 위스키는 물론 전통주 등 우리술 활성화를 막는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주류업계의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정부 주도 아래 민관협력 K-리큐어(Liquor) 수출지원협의회가 출범한 당시 국산 위스키 ‘김창수위스키증류소‘의 김창수 대표가 "수입 위스키에 비해 높은 국산 위스키 주세 부담을 낮추거나 종량세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발언도 이런 배경을 깔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K-주류 인지도 확산을 모색하는 자리에서 국내시장에서조차 국산 주류가 빛을 발하지 못하는 ’역차별 문제‘를 제기하는 아이러니한 모습이 아닐 수 없었다.

과거 상류층의 술로만 여겨졌던 위스키가 소비층 확대로 더 대중화되고 주요 소비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물가)의 관점으로 과세 기준을 삼는 것은 시류에 맞지 않다고 본다. 서민 주류인 소주와 함께 위스키가 증류주로 묶인 탓에 종량제로 전환 시 애로사항은 있겠으나, 과도한 음주에 따른 사회적 비용 등을 관리하는 차원에서라도 주세 개편이 필요할 때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