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이재용 ‘광폭행보’ 바이오 사업 ‘제2 반도체 신화’ 노린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07 11:00

글로벌 제약사 연쇄 회동…J&J·BMS·플래그십·바이오젠·오가논 등
"과감하고 끈기 있는 도전이 승패 가른다"

자료사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2021년 11월 미국 플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2021년 11월 미국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 본사를 찾아 누바 아페얀 모더나 공동 설립자 겸 이사회 의장과 만났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출발점은 중요하지 않다. 과감하고 끈기 있는 도전이 승패를 가른다. 반도체 성공 스토리를 바이오 신화로 이어가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미국 출장 중 한 말이다. 이 회장이 바이오 분야에서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쓰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세계 최대 바이오클러스터인 미국 동부에서 글로벌 빅파마(Big Pharma) 및 바이오 벤처 인큐베이션 회사 등 경영진과 연쇄 회동을 가졌다.

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미국에서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드존슨(J&J) 최고경영자(CEO) △지오반니 카포리오 BMS CEO △누바 아페얀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 CEO △크리스토퍼 비에바허 바이오젠 CEO △케빈 알리 오가논 CEO와 각각 만났다. 바이오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신사업 발굴을 위한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이 바이오 업계 리더들과 연쇄 회동을 한 것은 산업 전반에 걸쳐 글로벌 협업을 한층 더 강화함으로써 바이오 사업을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바이오 산업은 생산 기술과 연구개발(R&D) 역량은 물론 장기 협업을 위한 신뢰와 평판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진입 장벽이 높은 대표적인 분야로 꼽힌다. 이 회장의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는 삼성 바이오 사업이 빅파마들과의 협업을 확대하며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업체 측은 기대했다.

삼성의 주요 고객인 J&J는 창립 140여년의 역사를 가진 바이오 제약사다. BMS는 지난 2013년 의약품 생산 첫 발주를 함으로써 삼성의 바이오 사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 기업이다.

누바 아페얀 CEO는 모더나의 공동 설립자다. 삼성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계약을 통해 국내 코로나 위기 극복에 함께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이오젠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합작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한 곳이다. 지난해 바이오에피스 지분을 모두 삼성에 매각했지만 삼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럽지역 유통과 판매를 담당하는 등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이 회장은 제약사와의 미팅 후 북미 판매법인 직원들을 만나 글로벌 공급망 현황을 점검하고 격려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