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이든 건설사든 연쇄 부도 사태는 막았지만 언제 또 터질지 모릅니다."
지난해 레고랜드발로 촉발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분위기에 모 건설사 관계자가 한 말이다. 금융당국이 위험 관리에 돌입하면서 한 고비는 넘겼지만 아직 안심할 때가 아니란 거다.
최근 시장의 관심은 부동산PF 문제를 떠났다. 은행과 증권, 건설사들이 위험 관리에 돌입하면서 위기를 넘겼다고 자평하고 있어서다. 또 4거래일째 이어지고 있는 SG증권발 상장사 무더기 하한가 사태도 한몫하고 있다. 여기에 유명 연예인도 관여된 것으로 거론되면서 시장에서 부동산PF 부실 우려는 점차 잊혀지는 듯하다.
하지만 현 상황은 심각하다는 게 문제다. 주요 증권사 PF대출 연체율은 위험수위로 일컫는 10%를 넘어섰고 빨간불이 켜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증권사 35곳의 대출 잔액은 4조5000억원, 연체율은 10.38%로 집계됐다. 2021년 말 연체율이 3.71%였던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급격하게 오른 셈이다.
부동산PF 우발부채 리스크는 업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등 악재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은 만큼 부동산PF 부실화도 위험 수위에 올랐다. 대구를 필두로 지방 부동산 시장은 거의 살아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지방에서 주로 많이 이용하는 제2금융권에 비상이 걸렸고 새마을금고는 최근 ‘위기론’까지 급부상했다.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당국도 피해 지원에 돌입한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특별 금융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저측은행의 대출 문턱을 높여 위기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수준으로는 충분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지원을 기본으로 증권사와 대형 은행이 뼈를 깎는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증권사 임원은 "브릿지론이 제2금융권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그 규모가 상당하다"며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건설업계부터 금융업계까지 연쇄적으로 붕괴할 가능성도 농후하다"고 말했다.
부동산PF 리스크는 우리 사회에 여전히 도사리고 있다. 기업들 스스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 뿐더러 금융당국도 의지 표명에만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다. 연쇄 도산의 위기를 넘겼다고 자평할 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