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우크라戰 불안에 세계 군비지출 역대최고…한국, 일본 제치고 9위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4 15:27
UKRAINE-CRISIS/EAST-ARTILLERY

▲(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안보 우려가 고조되자 글로벌 군비지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재단(SIPRI)이 24일(현지시간) 발표한 ‘2022 세계 군비지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군비 지출액은 전년보다 3.7% 상승한 2조 2400억달러(약 2900조원)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는 세계 국내총생산(GDP) 총합의 2.2%에 해당한다.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세계 군비지출 증가폭은 전년 대비 6.5%로 늘어난다고 SIPRI는 설명했다.

세계 군비지출은 2015년 이후 8년간 매년 증가했다. 2013년과 비교하면 최근 10년 사이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IPRI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국과 중국의 경쟁에 따른 동아시아의 긴장 고조를 전세계 지출을 늘린 요인으로 지목했다.

지난해 군비 지출 1위 국가는 미국이 8770억달러(약 1170조원)로 최고였다. 중국(2920억달러 추정), 러시아(864억달러 추정), 인도(814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750억달러 추정)가 순위를 이었다. 이어 6위는 영국(685억달러), 7위 독일(558억달러), 8위 프랑스(536억달러)였다.

한국의 군비 지출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464억달러로 9위를 기록했고 일본은 460억달러로 10위였다. 일본은 2021년 9위였다가 이번에 한국과 자리가 바뀌었다.

한국의 군비 지출이 감소한 것은 인플레이션 영향이 크다. 명목 기준으로 한국의 군사 예산은 2021년 대비 2.9% 증가했다.

우크라이나(440억달러)는 2021년 36위였다가 지난해 2월부터 전쟁을 치르면서 11위로 상승했다. 러시아도 2021년 5위였다가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3위로 올라갔다.

지역별로 보면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안보 불안을 크게 느끼는 유럽에서 군비 지출이 급증했다. 지난해 유럽의 군비 지출은 전년보다 13% 증가한 4800억달러로 냉전이 종식된 198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장 급격하게 군비를 늘린 유럽 국가는 핀란드(36% 증가), 리투아니아(27% 증가), 스웨덴(12% 증가), 폴란드(11% 증가) 등 러시아와 인접한 국가들이다.

난톈 SIPRI 군비 지출 및 무기 생산 프로그램 선임 연구원은 "최근 수년간 전 세계 군비 지출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은 우리가 점점 더 불안정한 세계에 살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