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단독] 산업부, 호남 재생에너지 수도권 송전 ‘전기 운반선’ 도입 검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19 16:40

"산업부, 최근 국회 산자위 방문해 일본 개발 중인 ‘파워X’ 소개하며 제안"



산업부 "해저 송전선 확충 대비 비용 등 저렴...조선, 배터리 제조역량 고려한 아이디어 차원"

clip20230419134718

▲일본 POWER X가 개발 중인 전기 운반선.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이 해상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육상이나 해저 송전망 대신 배에 저장해 옮기는 ‘전기 운반선’ 도입을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기 운반선에 해상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로 송전망 부족과 발전기 출력 빈발 등 문제를 겪고 있는 호남권의 생산 전력을 전력 수요 집중지역인 수도권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산업부 관계자들이 의원실에 이같은 아이디어를 제안했다"며 "송전선 확충 대비 비용이 저렴하고 민원 문제도 적다는 게 산업부의 주장인데 운반비용, 계통영향 등 고려하면 추가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산업부가 검토한 전기운반선은 일본 기업인 ‘파워X’의 사례를 참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워X가 개발 중인 전기 운반선은 해상 풍력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해저 케이블이 아닌 컨테이너형 축전지(ESS)에 모아 육지에 운반하는 선박이다. 해저 케이블의 경우 1km 부설할 때마다 10억∼20억원의 비용이 드는 반면, 파워X에서 만든 전기 운반선 건조비는 한 척당 300억 원 220MWh(일반 가정 약 2만2000세대의 1일 전기 사용량 수용) 정도로 추산된다.

clip20230419134631

▲전기 운반선 사업 모델. 출처=NIKKEI 신문 전자판.


파워X를 비롯해 이같은 구상을 지지하는 업계에서는 해상 풍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해저 케이블이 아닌 선박을 통해 옮기는 것이 가능해지면 풍력 발전기의 입지 제약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해안 100km 권역 해상에 설치된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소들이 존재하는데 그 발전 풍차와 해저 케이블로 연결되는 해상 서브스테이션(변전소), 그리고 수요처인 육지의 변전 설비 사이를 전기 운반선이 왕복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세계적으로 전례를 찾기 힘든 독창적인 사업 모델인 점을 들어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적지 않게 제기된다. 가장 큰 장벽으로는 비용 문제가 꼽힌다. 해저 케이블 이용 시와 비교했을 때 전기 운반선을 이용하는 경우 종합적 운용 비용(건조비, 승조원 인건비, 배터리 조달비용)은 현재로선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관계자는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도 해외기업들의 난립이라는 지적이 여전하며 발전량과 경제성도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애초에 송전망이 준비된 상황에서 발전설비를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된 지역(호남권)은 봄·가을처럼 전력 소비가 적은 기간에 남는 전력을 전력 수요가 많은 지역(수도권)으로 전송해야 하는데, 두 지역을 연결하는 송전선로가 극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송전설비가 적기에 확충되지 않은 탓에 올 봄에는 발전량을 강제로 줄이는 출력제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제주에서 전남 지역(해남·진도)을 잇는 해상 송전선로가 있으나 소규모이며,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수도권까지 이어지는 해상 광역 송전망은 전무하다. 현재 수립 중인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르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전력수요 증가, 발전력과 수요의 집중 지역 차이 등으로 인해 송·변전 설비 보강이 대폭 필요한 실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른 송전제약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차원이며 우리나라의 조선, 배터리 제조 능력을 고려하면 충분히 검토할 만 하다"며 "정부는 전력망 투자를 최적화하고 송·변전 설비 건설이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그간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정책을 조만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jj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