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피스텔 가격은 3분기 연속으로 떨어지며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전·월세도 함께 떨어지면서 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 이 같은 하락세의 영향으로 분양 실적 또한 초라해 보이기만 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1.19%, 전세가격은 1.25%, 월세가격은 0.18% 하락했다.
분양 실적 또한 부진하기만 하다. 올해 1분기 전국 오피스텔 분양물량은 1464실로 7282실을 기록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0%나 감소했다. 이는 최근 10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1분기 평균 분양실적인 1만2723실과 비교하면 약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오피스텔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2월 전국 오피스텔 거래량은 4930건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54%나 감소했다.
특히 한때 아파트 규제 반사이익으로 수요자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던 ‘아파텔’의 부진은 재앙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아파텔은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합친 합성어로 전용면적 60㎡ 이상의 주거용 오피스텔을 뜻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매매가격이 폭락하는 오피스텔이 속출하고 초기 분양가 대비 억대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가 붙은 물건들이 쏟아지면서 일부 소유주와 당첨자들은 손해를 감수해서라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아파텔을 처분하는 눈물의 바겐세일에 나섰다.
불행 중 다행으로 정부가 오는 24일부터 오피스텔 대출 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방식을 아파트 등 일반 주택과 같은 방식으로 개선해 실제 대출만기에도 적용하기로 했지만 청약시장은 물론 경매시장에서도 수요자들의 관심은 차갑게 식은 상황이다.
앞서 오피스텔 소유주들은 정부가 실시하는 규제완화가 매매가격에 영향을 끼치고 특례보금자리론 등의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는 과정에서 불만을 표출한 바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오피스텔 시장 침체기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오피스텔 시장 부진이 부동산 시장 전체에 ‘나비효과’를 불러오기 전에 정부가 개입해 규제완화를 통한 시장 활성화에 나서주기를 간절히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