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병라인’, ‘지옥철’ 등 악명을 떨치고 있는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에서 승객 실신 사태가 벌어지자 당국이 긴급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버스전용차로 연장, 셔틀버스 지원, 혼잡 시간대 이동 동선 분리하는 ‘커팅맨’ 배치 등 방안을 내놨다. 수륙양용버스를 한강 위 띄운다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실신한 승객이 나오니 온갖 긴급대책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분명 골드라인은 지난해 초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시절 직접 체험해본 지옥철이다. 또 지난해 11월 서울 이태원 압사 사고와 한강2신도시 콤팩트시티 조성 발표 때 골드라인 혼잡도 문제를 재차 부각시킨 적이 있다. 그런데도 이제야 정부와 지자체가 움직이자 여론의 뭇매를 맞는 것은 당연하다.
경기 성남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도 마찬가지다. 보행로(캔틸레버)가 무너져 내리면서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이 다리는 지난해 정기점검에서 2번째로 높은 등급인 B등급(양호) 판정을 받아 점검의 의미를 무색하게 했다.
교량의 캔틸레버 붕괴사고는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지난 2010년 4월 서울 올림픽공원 청룡교 캔틸레버 붕괴사고로 1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또 지난 2018년 7월 성남 야탑10교 캔틸레버 파손 사고 역시 이와 비슷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유사사고가 나왔음에도 불과 5년 만에 이같은 사고가 또 이어진 것이다.
모든 사고를 예측할 순 없다. 사고가 터진 뒤 수습하는 ‘땜질식’ 정책도 어쨌든 일은 한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경고가 나왔는데 유사사고가 연속으로 터지는 것은 정부와 지자체의 직무유기다.
또 하나의 경고가 있다.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금광건설이 시공하는 ‘법무법인 산하 사옥 신축’ 공사장에서 가설기자재인 파이프 서포트들이 8층 정도 높이에서 현장 밖으로 우수수 떨어진 아찔한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제보자에 따르면 그 길은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자주 이용하는 길이었다. 만일 자재들이 사람들 머리 위로 떨어졌으면 대형 참사가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현장에 설치된 추락 방호망(혹은 낙하물 방지망)을 뚫고 자재들이 떨어져 전선들마저 주저앉게 만들었다는 것은 시공사가 변명할 길이 없다. 지나다니는 시민들 안전을 생각했다면 응당 가설 보행자이동통로를 설치해야 했다.
자재들이 현장 밖으로 추락해 인명사고가 벌어진 뒤에야 땜질 대책을 세우는 불상사를 만들지 않으려면 정부와 지자체가 관련 예방 대책 방안을 미리 살펴야 할 것이다.
![]() |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일대 건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자재 추락 사진. 제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