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유통가 톺아보기] MZ세대 홀린 '약과'…식품업계 앞다퉈 ‘약켓팅'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11 17:20

전통음식 재해석 복고열풍, '할매 입맛' 젊은층 매료시켜
품귀에 중고몰 웃돈판매도…삼립·신세계푸드 신제품 경쟁

SPC 조청모약과

▲지난달 31일 SPC삼립이 출시한 ‘조청모약과’. 사진=SPC삼립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명절날에나 먹던 전통간식 약과가 MZ세대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유명 유튜버들의 맛집 추천에서 시작된 ‘약과 대란’ 현상이 올해도 이어지면서 ‘대세 디저트’로 떠오르고 있다.

약과와 함께 떡·식혜·꽈배기 등 복고 감성을 지닌 음식들도 인기가 뜨겁지만, 특히 약과는 구매마저 어려워 이른바 ‘약켓팅(약과+티켓팅)’이라는 신조어마저 생길 정도이다.



◇"약과에 빠졌다"…품절 사태에 리셀 현상까지

약과가 대세 디저트로 부상한 배경에는 MZ세대의 공로가 크다. 레트로(복고) 열풍과 함께 이른바 ‘할매 입맛’을 가진 젊은 세대들이 우리 고유의 전통 음식에 푹 빠지면서 맛집으로 소문난 약과 판매점을 방문하기 위해 춘천·의정부까지 원정을 떠나는가 하면, 직접 제품을 구매한 뒤 인스타그램 등 개인 소셜미디어에 인증샷을 올리는 게 핫 트렌드가 자리잡았다.

이마저도 인기가 높아져 재고가 순식간에 동이 나면서 현재는 오픈런(출시와 동시에 구매하려는 대기행렬) 없이 구하기 힘든 실정이다. 오프라인 매장뿐 아니라 온라인 몰 역시 미리 판매 시간을 고지함에도 사람이 몰려 연일 품귀사태를 빚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월 14일 약과 먹방 시초로 알려진 유튜버 ‘여수언니’가 한 스타트업과 손잡고 스마트스토어에서 선보인 ‘봄날엔 약과’는 판매 시작 1분만에 완판돼 버렸다. 같은 날 진행한 2차 판매, 17일 프리오더 판매 역시 순식간에 소진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당근마켓 중고 플랫폼에서도 웃돈을 얹어 되파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실제로 조각조각 부서진 모양으로 유명한 경기 의정부 장인한과의 ‘파지약과’는 이달 10일 기준 당근마켓에서 한팩 당 1만원대 중후반대 가격으로 거래됐다. 원가가 한 팩당 6500원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약과

▲지난 10일 당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던 경기 의정부 한 약과 판매점 제품. 사진=당근마켓 갈무리

◇약과 인기에 식품업계 신제품 출시 ‘봇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약과 등 옛 먹거리를 찾아 나서는 움직임이 계속되면서 식품업계도 관련 상품을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

최근 SPC삼립은 전통 디저트 브랜드 ‘대한과자점’을 출시하는 동시에 첫 제품으로 프리미엄 약과 ‘조청 모약과’를 선보였다. 국산 밀과 찹쌀로 만든 반죽을 18㎜ 두께로 튀긴 약과에 조청이 최대한 스며들도록 꿀과 조청을 발라 재우는 즙청 공정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프리미엄 약과답게 패키지도 나전칠기와 덕수궁 정관헌, 황실을 상징하는 이화문 등에서 착안한 디자인에 고급스러운 자개 패턴을 더했다. 전국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가운데 추후 온라인 채널에서 선물세트로도 선보인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기존 약과에 자체 레시피를 적용해 내놓은 이색 제품들도 눈길을 끈다. 신세계푸드는 지난달 약과 특유의 맛과 식감을 활용한 ‘경제적 약과파이’를 내놓았는데, 이 제품은 출시 열흘만에 2만 세트가 팔리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올 초 던킨이 출시한 ‘허니 글레이즈드 약과’도 설 시즌 제품이었음에도 12일간 진행된 한정판매 기간 동안 누적 판매량만 20만 개를 넘어서자 회사는 발빠르게 상시판매로 전환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에게는 전통음식을 재해석하는 즐거움으로, 기성세대에게는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먹거리로 주목받으면서 당분간 인기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