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유희동 기상청장 "기후변화 특성은 불공정·불감증…기상데이터 댐 구축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11 11:59

국회 대토론회 참석 발표…"기상기후데이터 허브역할 것"



""한국 연평균기온 10년에 0.2도씩 상승…세계 평균의 3배"

KakaoTalk_20230411_114558677

▲유희동 기상청장이 11일 국회에서 열린 ‘제2회 국가현안 대토론회-기상데이터로 본 기후위기 대응과제는?’에 참석, ‘기후위기극복, 국가 도약을 위한 미래 100년의 준비’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오세영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유희동 기상청장은 11일 "기후변화가 극심해지는 기후위기 시대에는 여러 분야에서 기상기후데이터 사용이 필수적"이라며 "기상청이 실질적인 데이터 허브로서 효율적인 탄소 감축과 적응 정책 마련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 청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2회 국가현안 대토론회-기상데이터로 본 기후위기 대응과제는?’에 참석, ‘기후위기극복, 국가 도약을 위한 미래 100년의 준비’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말했다.

유 청장은 "기상기후데이터는 국민의 일상 속에서 필수적이면서 사회 여러 분야와 맞물려 있고 기후위기와 생활안전을 위한 데이터"라고 설명했다.

기상기후데이터는 에너지 식량 보건 재난 교통 산업 등 사회 각 분야와 밀접한 만큼 에너지 공급, 물관리, 산업개발 정책 등에 폭 넓게 영향을 끼친다.

유 청장은 "기후변화는 불공정하고 불감증이라는 특성이 있어 개개인 행동으로 확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공이 개입해 가장 과학적인 명확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해 사회적 실천을 끌어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하기 위한 투입자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기상청이 기상기후데이터 허브로서 기후위기 극복 국가도약의 발판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민, 국가, 산업계, 학계가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허브와 국내외 기상기후데이터를 한 데 모으는 데이터 댐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시간, 대량으로 기상기후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재난 및 산업 현장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유 청장에 따르면 지난 100년 동안 기후변화는 빠르게 진행됐다. 특히 한국 기후는 지구 평균보다도 높은 속도로 변화해왔다.

2020년 전 세계 평균기온은 14.88도였다. 20세기 평균보다 0.98도 높은 수준이다.

지구 평균 온도가 1도 상승하는 데 걸린 시간은 1000년에서 100년으로 짧아졌다.

1912∼2020년 한국 연 평균기온은 10년에 0.2도씩 상승해왔다. 전 세계 평균인 10년에 0.07도의 세 배에 달하는 수치다.

최근 30년(1991∼2020년)을 보면 지구 평균기온은 18.18도에서 18.30도로 0.12도 올랐다. 같은 기간 한국 평균기온은 18.32도에서 18.53도로 0.21도 상승했다.

더위가 길어졌다. 지난 30년(1981∼2010년) 대비 최근 10년(2011∼2020년) 열대야일은 4.6일 길어졌고, 폭염일은 2.8일 증가했다.

2021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농도는 415.7ppm이었다. 한국 이산화탄소 농도는 관측지에 따라 419.6∼423.1을 기록해 전 세계 평균보다 짙었다.

기후변화 전망도 밝지 않다.

‘공통 사회경제경로’(SSP)에 따라 다르지만 21세기 후반 기준 연평균기온은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하는 경우(SSP5-8.5) 현재보다 6.3도 상승할 전망이다.

여름은 97일에서 170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온실가스를 감축해 2070년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우(SSP1-2.6) 같은 기간 연평균기온은 2.3도 오르고, 여름은 97도에서 129일까지만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claudia@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