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연합뉴스 |
3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김치를 직접 담는 가구는 22.6%로 조사됐다.
2017년(56.3%)과 비교하면 33.7%p 감소한 수치로, 2018년(51.3%)까지만 해도 50% 이상을 기록했으나 2019년 41.7%, 2020년 23.6%로 줄었다.
1인 가구 증가와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 양상 변화와 함께 특히 2020∼2021년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가족과 함께 김치를 담그는 것이 어렵게 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김치를 담그지 않는다는 가구는 76.7%로 2017년(43.7%)보다 33%p 증가했다. 집에서 아예 김치를 먹지 않는 비중은 0.7%였다.
김치를 담그지 않는 가구 중 김치를 사서 먹는 비중은 33.1%로 2017년(10.5%) 대비 3배 늘었다. 이들이 김치 제품을 살 때 고려하는 사항은 맛(32.5%), 가격(17.0%), 원산지(16.8%) 순이었다.
나머지 29.1%는 부모·형제 등 가족으로부터, 14.5%는 친척·지인 등으로부터 김치를 얻는 경우였다.
상품 김치 구입 비중은 시 지역(34.6%)이 도 지역(31.9%)보다 높았다. 김치를 직접 담가 먹는 가구 비중은 도 지역(23.6%)이 시 지역(21.4%)보다 높았다.
이 밖에 연령이 많은 가구일수록 김치를 직접 담가 먹는 비중이 높았다. 60대 이상 36.4%, 50대 23.9%, 40대 17.0%, 30대 15.6%, 20대 이하 11.8%였다. 또, 2인 이상 가구 중 김치를 담그는 비중은 27.0%로 1인 가구(12.3%)보다 2배 이상 많았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