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뇌물 받은 노무현에 이명박 개입, ‘무능’ 문재인이 못 지켜"...담당 검사 책 오늘 나온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17 09:10
이인규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 표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 책임자였던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뇌물 혐의가 모두 사실이었다는 취지의 책을 17일 발간한다.조갑제닷컴 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 책임자였던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17일 발간할 책에 파장이 예상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전 부장은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누가 노무현을 죽였나’(조갑제닷컴·532쪽)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냈다.

조갑제닷컴이 배포한 책 소개 자료를 보면 이 전 부장은 이 책에서 노 전 대통령 혐의와 수사 결과를 상세히 기술했다.

그는 권양숙 여사가 고(故) 박연차 회장에게 피아제 남녀 시계 세트 2개(시가 2억 550만원)를 받은 사실은 다툼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 시계가 재임 중이었던 2006년 9월 노 전 대통령에게 뇌물로 전달됐음이 상당하는 지적이다.

2007년 6월 29일 권 여사가 노 전 대통령과 공모해 총 140만달러를 받은 사실도 인정된다고 했다.

청와대에서 정상문 당시 총무비서관을 통해 박 회장에게 아들 노건호 씨 미국 주택 구입 자금 명목으로 100만달러, 그해 9월 22일 추가 40만 달러를 받았다는 것이다.

2008년 2월 22일에는 건호 씨와 조카사위 연철호 씨가 박 회장에게 500만 달러를 받아 사업명목으로 쓴 것도 ‘다툼이 없다’고 적었다.

정 전 비서관 특수활동비 12억 5000만원 횡령은 본인이 단독 범행이라고 주장했지만, 노 전 대통령 공모 범죄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검찰은 이런 혐의로 노 전 대통령을 기소해 유죄를 받아낼 충분한 물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했다. 그러나 그의 사망으로 ‘공소권 없음’ 처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을 검사장으로 승진시킨 노 전 대통령이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된 사실을 뒤늦게 알고는 "호랑이 등에 올라탄 심정"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를 알고도 수사하지 않는다면 검사로서 직무유기라고 판단해 수사를 계속했다고 회고했다.

노 전 대통령이 중수부에 출석한 2009년 4월 30일 조사실에서 오고 간 대화도 책에 상세히 적었다.

그는 당시 우병우 대검 중수1과장이 노 전 대통령과 박 회장 대질조사를 요구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측이 거부하자 두 사람을 대면만 하도록 했다.

이 전 부장은 조사실에서 박 회장이 "대통령님, 우짤라고 이러십니까!"라고 하자 노 전 대통령이 "박 회장, 고생이 많습니다. 저도 감옥 가게 생겼어요. 감옥 가면 통방 합시다"라고 했다고 기억했다.

이 전 부장은 범행을 부인하는 피의자 대질 거부는 수사기관에 거짓말한다는 인상을 줄 우려가 있어 현명한 선택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또 노 전 대통령이 "이 부장, 시계는 뺍시다. 쪽팔리잖아"라고도 말했다고 주장했다.

100만 달러 수수에 대해선 "저나 저의 가족이 미국에 집을 사면 조·중·동이 가만히 있겠습니까? 말도 되지 않는 소리"라고 부인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구체적인 수사 개입을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정동기 청와대 민정수석이 4월 10일께 자신에게 "노 전 대통령을 불구속하되 피아제 명품 시계 수수 사실을 언론에 흘려 도덕적 타격을 가하는 것이 어떠냐"고 했다는 것이다. 4월14일에는 국가정보원에서도 찾아와 비슷한 요구를 했다고 한다.

이에 이 전 부장은 "수사에 간섭하지 말라"며 거부했다고 회고했다.

이 전 부장은 이를 토대로 이른바 ‘논두렁 시계’ 의혹을 언론에 흘린 것은 국정원과 당시 청와대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이 전 부장은 노 전 대통령 서거 원인 상당 부분을 변호인으로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 탓으로 돌렸다.

그는 문 전 대통령이 저서 ‘운명’에서 ‘검찰이 박 회장의 진술 말고는 아무 증거가 없다는 것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썼던 점을 지적했다.

이 전 부장은 "검찰 수사 기록을 보지도 못했고, 검찰을 접촉해 수사 내용을 파악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으며 의견서 한 장 낸 적이 없는데 무슨 근거로 그런 주장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변호인으로서 문 전 대통령이 검찰을 찾아와 솔직한 검찰의 입장을 묻고 증거관계에 대한 대화를 통해 사실을 정리해 나갔더라면 노 전 대통령이 죽음으로 내몰리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그는 변호를 맡지 말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부장은 특히 문 전 대통령이 "노무현의 주검 위에 거짓의 제단을 만들어 대통령이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슬픔과 원망과 죄책감을 부추기는 의식(운명 책 발간)을 통해 검찰을 악마화하고 지지자들을 선동했다"며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지요 친구인 노무현의 안타까운 죽음을 이용한 것"이라고 기술했다.

당시 진보 성향의 언론과 민주당 정치인을 향해선 "노 전 대통령이 생을 마감하자 돌변했다"며 "검찰에 모든 비난의 화살을 돌렸고, ‘노무현 정신’을 입에 올리며 앞 다퉈 상주 코스프레 대열에 합류했다"고 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