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소줏값 6천원 막는다'…정부, 실태조사 팔걷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26 10:50

기재부, 소주 가격 인상 요인·정당성 등 점검



비공개 간담회 통해 국세청 업계 자정 노력 설득

소주

▲지난 20일 서울 한 식당의 메뉴판.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소주 한 병 당 6000원 시대를 막기 위해 정부가 팔을 걷었다. 주요 인상 요인과 주류업계 동향은 물론 업체별 수익 상황과 경쟁구도까지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26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주류업계의 소줏값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소주 원재료로 꼽히는 타피오카 가격과 주정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 병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줏값 인상 이슈가 불거지자 행동에 나선 것이다. 통상 음식점이 1000원 단위로 주류 가격을 인상하는 점을 고려하면, 추후 소줏값 인상 시 대다수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소주 한 병당 6000원이 되는 셈이다.

이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소줏값 인상 움직임 관련 보고를 받자마자 대응 방안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소줏값 6000원은 서민과 직장인의 소비 심리를 위축시킨다는 양기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동감을 표시하며 "소주 등 국민이 가까이 즐기는 그런 품목(의 가격 인상)에 대해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현재 기재부는 소줏값 인상 요인을 검토하고 있다. 원재료값·에너지·병 가격 상승 등이 소줏값 인상으로 이어질 정도로 정당성이 있는지 살펴본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소주 제조업체 등 주류업계의 인상 동향과 업체별 수익 상황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시중은행처럼 영업 상황이 어렵다고 토로하는 동시에 역대급 순이익을 벌어들이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은 아닌지 뜯어보겠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또, 이번 조사를 계기로 정부는 독과점 등 주류업계 내 경쟁구조도 살펴본다는 입장이다. 주류 생산과 유통, 판매 등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주류값 인상을 쉽게 하는 것은 아닌지 파악한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국세청은 앞서 주류업체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가지는 등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주류 생산과 유통, 판매 등 여러 분야의 회사로부터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올해 공정위 역시 국민 부담으로 직결되는 민생 분야 담합 행위를 중점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