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가격 떨어질 때 이사한다”…하락기, 신축 갈아타기 수요 증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26 11:42

부동산R114, 전국 5년 아파트 거래비중 1년새 10%↑



수도권 5년 이하 아파트 거래도 2배 가까이 늘어



재건축 투자 이슈 아파트는 오히려 구축 구매 증가

2023022601001343500060791

▲부동산R114가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집값이 하락할 때 5년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전국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부동산 하락기에 선호도 높은 신축 아파트나 더 큰 평수로 이사를 하려는 ‘아파트 갈아타기’ 수요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연식별 아파트 거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전국 5년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1월(이하 계약일 기준) 전체 거래의 9.7%였으나 올해 1월 19.6%로 커졌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5년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도 11.9%에서 22.3%로 2배 가까이 늘었다. 경기는 9.8%에서 23.5%로, 인천은 4.1%에서 20.6%로 신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졌다. 지방도 9.0%에서 1년 만에 17.9%로 늘었다.

반면 준공 후 30년이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은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1월과 올해 1월을 비교하면 수도권은 14.9%에서 10.4%로, 지방은 17%에서 12.5%로 줄었다. 전국적으로는 16.5%에서 11.7%로 떨어졌다. 특히 인천은 32.3%에서 14%로 눈에 띄게 구축 거래 비중이 줄어들었다.

다만 재건축 투자 이슈가 크게 작용하는 서울은 30년 초과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이 12.9%에서 21.1%로 오히려 늘어났다.

더 넓은 평형으로 갈아타려는 수요에 힘입어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줄고 중소형 이상 거래가 늘어나는 양상도 나타났다.

지난해 1월 전국에서 전용면적 60㎡ 이하(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전체의 51.5%로 과반이었지만, 올해 1월에는 41.5%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60㎡ 초과~85㎡ 이하(중소형) 아파트 거래는 40.9%에서 49.3%로 눈에 띄게 늘어났다.

수도권도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1월 52.1%에서 올해 1월 38.8%로 줄었지만, 중소형 거래는 36.7%에서 49.8%로 늘었다. 지방도 소형(51.4%→43.1%)은 줄고 중소형(42.3%→48.9%)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가 동일하게 보였다.

구축보다는 신축, 소형보다는 중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1년 새 눈에 띄게 늘어난 데는 주택가격 하락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힌다.

부동산R114 REPS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입주 5년 이내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작년 1월 3223만원에서 올해 1월 3100만원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서울(5636만원→5433만원), 경기(2984만원→2808만원), 인천(2306만원→2179만원) 등도 모두 하락했다.

면적별로 봐도 전국 60㎡ 이하 아파트의 3.3㎡당 매매가는 작년 1월 2054만원에서 올해 1월 1973만원으로 하락했고 60㎡ 초과~85㎡ 이하 아파트도 2164만원에서 2092만원으로 떨어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수도권 등지에서 입주 물량이 늘면서 준공 5년 이내 신축 아파트 물량이 풍부해졌다"며 "집값 하락기를 맞아 신축에서도 낮은 가격대 매물이 나오고 비교적 넓은 평형대도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