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정훈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미래전력망연구센터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 공동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포럼’에 참석, ‘재생에너지 데이터 관제센터는 어떻게 운영되는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송기우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올해 안에 전남에서 신재생에너지 데이터 관제센터 시스템 실증 사업을 마치고 내년부터 센터를 본격 운영할 계획입니다."
신정훈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미래전력망연구센터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에너지경제신문과 에너지경제연구원 공동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포럼’에 참석, ‘재생에너지 데이터 관제센터는 어떻게 운영되는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신재생관제센터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발전량을 예측해 필요한 만큼 가동중단(출력제한) 계획을 세우는 기관을 말한다.
그는 전남을 시작으로 다른 지역에도 신재생관제센터 설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밀집한 지역인 전남을 거점으로 들쑥날쑥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관리하겠다는 의미다.
전력을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전달하는 전력계통망은 일정 규모 수준의 전력량을 유지하지 않으면 고장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센터장은 "지난 2016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의 계통 연계가 급증했다"며 "지난해까지 배전계통에는 22.7기가와트(GW)와 송전계통에는 7.1GW로 총 29.8GW의 신재생에너지가 계통에 연계됐다"고 설명했다.
신 센터장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전체 보급량 중 75.7%가 호남·영남·충청권에 쏠렸다. 전체 보급량의 3분의 1인 10.2GW가 호남권에 설치됐다. 다음으로는 영남권 6.6GW, 충청권 5.8GW가 보급됐다.
그는 "전남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서 2단계 감시·예측 단계에서 3단계인 제어로 넘어갔다"며 "신재생 발전을 감시하고 제어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센터장은 신재생관제센터의 역할에 대해 기상예측을 바탕으로 신재생발전량을 예측하고 필요한 출력제어량을 도출해낸다고 설명했다. 도출해낸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량을 바탕으로 전력거래소와 다음날 출력제어 계획을 수립한다.
신 센터장은 "기후급변으로 태풍 등 비상상황 발생 시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고 발전량 감소량 대비 화력발전 증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며 "보안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력제어시스템의 보안절차를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