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시 수소버스 선도도시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식’ 및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산을 위한 친환경 공항 인프라 조성 업무협약식’ 이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SK E&S는 올해 말부터 수소 유통·저장 방식의 혁신을 이끌 액화수소를 본격 공급해 수소버스를 포함한 ‘수소상용차 시대’ 활성화를 지원하고, 수송부문 탄소중립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날 SK E&S는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환경부, 국토교통부, 인천시, 현대자동차와 ‘인천시 수소버스 선도도시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E&S 생산하는 액화수소가 인천지역에 운행되는 수소버스 연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협약에 따르면 인천시는 올해 200대 이상, 내년까지 누적 700대의 시내버스 및 광역·전세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버스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국토부는 저상버스 보조금 및 연료보조금 지원, 규제개선 등에 나선다.
현대차는 수소버스를 적기에 생산·공급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SK E&S는 수소버스의 연료가 될 액화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충전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하는 핵심역할을 맡는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대량 운송과 빠른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대량의 수소 충전이 필요한 버스·트럭 등 수소상용차의 연료로 적합하다.
SK E&S는 연말 인천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최대 연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 개시를 앞두고 있다.
글로벌 수소기업 ‘플러그파워’와의 합작법인 ‘SK플러그하이버스(SK Plug Hyverse)’를 중심으로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도 추진 중이다.
![]() |
▲22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3 인천 액화수소 포럼’에 앞서 참석자들이 국내 최초 수소전기 통근버스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협약사들은 2024년까지 약 130억 원을 투입해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버스차고지 내에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및 기존 정비·세차·주차 등 부대시설을 활용한 ‘인천공항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국제공항 지역 내에 대규모 액화수소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는 첫 사례다.
인천공항은 고객용 공항버스, 직원용 통근버스 등 장거리 버스 운행 수요가 많고 화물차, 지게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운영되는 곳이어서 수소 모빌리티 전환을 통한 탄소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플러그하이버스는 안정적인 액화수소 공급 및 충전소 운영 역할을 맡아 수소 모빌리티 전환을 지원해 친환경 공항 조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권형균 SK E&S 부사장은 "우리는 올해 수소 유통·저장 방식의 혁신을 이끌 액화수소 공급을 본격화해 친환경 수소버스 조기 전환을 지원하고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이끌 계획"이라며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뒷받침된다면 올해는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사(史)에 기록될 ‘액화수소 시대’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협약식에 이어 ‘2023 인천 액화수소 포럼’이 개최됐다.
포럼 참가자들은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액화수소 기반 수소상용차 전환의 역할이 크다는 데 공감하며,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수소버스 보급 활성화로 수소경제의 국민 체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포럼 후에는 국내 최초 통근버스 노선에 투입된 수소버스에 시승행사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