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분양 연기하는 건설사 ‘속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2 13:25

지난달 분양 예정 단지 10곳 중 4곳만 분양

분양 일정 연기 우려↑

전문가 "자연스러운 현상"

KakaoTalk_20221218_113758140

▲부동산시장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분양 일정을 연기하는 단지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경기도에 분양한 한 아파트 견본주택. 사진=김다니엘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지난해부터 이어진 미분양 및 미계약 사태의 영향으로 건설사들이 올해 초 예정된 분양 일정을 연기하면서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2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1월5일 기준) 조사한 1월 분양 예정 단지 10곳 중 실제로 분양이 이루어진 단지는 4곳에 불과했다.

10개 단지 총 7275가구 중 일반분양은 5806가구였으나 실제 분양은 4개 단지 1549가구에 그쳤다. 분양이 지연된 일반분양 가구수만 4257가구에 달했다.


■ 1월 분양 예정에서 지연된 단지별 가구 수 (출처=직방)

지역구시군읍면동단지명총 가구 수분양 가구 수
인천미추홀구주안동더샵아르테1146770
경기수원시 팔달구지동수원성중흥S클래스1154593
경기의정부시금오동힐스테이트금오더퍼스트832408
경기평택시현덕면힐스테이트평택화양15711571
충북청주시 흥덕구복대동복대자이더스카이715715
충북영동군영동읍영동코아루리더스원200200


앞서 지난달 3일 국토교통부가 규제지역 해제 및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주택 시장 연착륙 방안을 마련하면서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의 전매제한 기간이 완화되고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자 분양시장 기대감은 커졌다.

하지만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완화에도 서울 및 수도권에서마저 분양시장이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위험수위를 넘어 7만가구에 달하게 됐다. 이에 따라 공급과잉 및 미분양 적체에 대한 우려는 높아지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8107가구로 전월(11월 말)과 비교해 17.1%(1만80가구) 증가했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6.4%(662가구) 늘어난 데 비해 지방은 19.8%(9418가구) 증가해 지방의 미분양 사태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결과의 영향으로 대구시는 지난달 30일 미분양 물량 급증을 방지하고 시장을 안정화 시킬 방침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추진해온 건축심의를 강화하고 신규 접수된 주택건설사업에 대해 승인을 보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에 더해 기존 승인된 주택건설사업지 또한 분양 시기를 조절해 후분양을 유도하거나 임대주택으로 전환할 것을 사업주체에 요구하기로 했다.

미분양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달에는 전국 16개 단지(총 1만2572가구)에서 9924가구가 일반분양을 앞두고 있다. 이는 지난해 동월에 비해 40% 이상 감소한 수치이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에 해당 분양이 진행된다면 더 큰 악재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달 신규 분양 전체 물량의 65%(8149가구)가 수도권에 몰려있어 건설사들이 받을 압박감은 심화되고 있으며 분양 일정 연기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올해 들어 미분양 우려가 커지며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연기하는 모습을 보이자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계속된다면 오히려 수요자들의 불안감을 키워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분양 시기를 미루는 것이 현 상황에 비춰봤을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을 시사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건설사들은 지금과 같은 시기에 신규 분양을 하게 된다면 흥행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라며 "지금 당장은 아직 규제가 남아있고 매수심리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공급자뿐만 아니라 투자자 입장에서도 분양을 미루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송 대표는 이어 "무리하게 분양을 진행한다면 자금조달, 중도금대출 등에 대한 위험부담이 커 건설사들이 시기를 조정하고 있다"며 "앞선 물량들이 해소되는 것을 고려해 분양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