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바이오업계, 바이오 기술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촉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09 20:41

바이오협회, '국가전략기술' 백신 산업 지원 확대 논의 촉구
백신은 보건안보·고부가가치 산업...국회 등 조속한 논의 기대

0000029686_001_20220811115902016

▲경북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 생산공장에서 스카이코비원이 생산되고 있는 모습.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정부가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세액공제 확대 방침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업계가 바이오 기술에 대한 지원 확대 방안을 신속히 논의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정부의 국가전략기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강화방안과 관련해 백신 등 바이오 기술에 대한 지원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일 국무회의에서 ‘국가전략기술 세제지원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국가전략기술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 확대, 신성장 원천기술의 경우 2023년 1년간 한시적 세액공제율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한 세제지원 강화 방안을 통과시켰다.

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2019년 코로나19 등 새로운 감염병 발생 주기가 짧아지고 그 위험성도 증가함에 따라 백신 주권 확보 차원에서 백신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앞으로 코로나19 백신을 매년 접종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향후 감염력이 높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신규 변이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이 재연되면 미국·유럽처럼 협상력이 큰 정부나 기업이 백신 구매를 주도하고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곳은 공급이 늦어지는 보건 안보 불균형이 현실화 될 수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 백신 자급률은 약 40%에 불과하고 지난해 우리나라 백신 무역수지 적자는 8억달러(약 9600억원)에 달했다. 국내 기업의 적극적인 백신 R&D 및 설비투자를 유도해야 하는 이유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둔화·금리인상 등으로 지난해 국내 바이오분야 벤처캐피탈 신규투자는 전년대비 34.1% 급감하는 등 민간의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검증을 위해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바이오산업의 특성상 정부가 나서서 세제지원 강화와 같은 인센티브를 통해 민간의 투자를 적극 유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백신 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기도 하다. 코로나19 백신을 제외하고도 글로벌 백신시장 규모는 지난 2021년 414억달러(약 52조원)에서 오는 2026년 671억달러(약 84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독감·폐렴 등 감염병은 물론 암·당뇨 등 난치병 치료를 위한 백신 개발도 유망 분야로 꼽힌다. 이러한 잠재성을 인식한 미국·영국 등 주요국 정부와 글로벌 빅파마들은 차세대 백신 개발에 집중 투자 중이다.

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보건안보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바이오 기술에 대한 우리 기업의 투자 유인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속히 국회에서도 세제지원 확대방안이 논의되고 반영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ch005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