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9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에너지 안보 해법 제시…비축 인프라 확대·재생에너지 생산기반 구축 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07 15:40

한국, 에너지 안보 상 ‘고립된 섬’…천연가스·ESS 등 에너지 비축 인프라 강화 필요성 제기



‘영토 안에서 생산되는 에너지’ 확대 위해 원자력·재생에너지 등 국내 생산 기반 다져야

인천생산기지_전경(야)-1

▲한국가스공사 인천LNG생산기지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에너지안보 측면에서 한국이 에너지 비축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에너지 비축 인프라 확충 통한 ‘에너지 방어선’ 구축으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가 발표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유럽의 에너지 안보’ 분석 보고서에서 정석완 선임연구원은 "한국은 에너지 안보상 지정학적으로 고립된 섬과 다름없다"며 "에너지 비축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등 국내의 에너지 생산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석유, 가스, 석탄 도입을 위한 수입국이 다양화 돼 있어 에너지 공급처 집중에서 오는 위험 수준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화석연료 비중이 높아 가격 상승 리스크에는 취약하다. 안보 측면에서도 지정학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유사 시 주변국과의 공동 대응 등 협력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원자력, 비축 인프라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 연구원은 "‘영토 안에서 생산되는 에너지’가 에너지 안보의 주요 요소"라며 "환경뿐만 아니라 안보 측면에서도 재생에너지는 유리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그는 "수력을 포함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친환경적이라는 점 외에도 원료가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천연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에 유리한 에너지 생성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을 원자력과 에너지 비축 여력 확보로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석유는 약 3개월분을 비축하고 있으며, 천연가스·ESS(에너지 저장시스템) 분야의 비축 인프라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석유의 경우 국내 9개 비축기지(원유 4개소, 제품 4개소, 액화석유가스(LPG) 1개소)를 운영하며 2022년 9월 말 기준 967만 배럴(약 111일분 사용량)을 비축하고 있다. 국제공동비축사업에도 참가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이다.

하지만 2021년 1월 기준 국내 천연가스 저장시설은 한국가스공사와 민간시설을 합쳐 611만 톤(7590kTOE, 천연가스 기준 약 8bcm), 제14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740만 톤(9193kTOE, 천연가스 기준 약 9.6bcm)까지 증가시킬 계획이나, 이는 연간 천연가스 사용량의 12~15% 수준이며 실제 비축량은 이보다 더 낮은 상황이다.

ESS의 경우 2021년 기준 9864MW가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동일 시점 연간 판매전력량 53만3431MWh 대비 1.8%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에너지 비축 인프라 확충을 통한 ‘에너지 방어선’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수소 인프라 등 신규 분야로의 진출 모색 필요성도 제기된다.

러시아산 석유 의존도를 낮추는 ‘REPowerEU’는 수소 인프라 구축을 에너지 전환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수소발전·연료전지 자동차 분야 등 신규 사업 진출 모색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다.

2020년 발표된 유럽의 수소 전략에서는 2024년까지 6GW급의 전기분해시설과 100만 톤의 재생 수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