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은행.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신한은행은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의 복합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 중소기업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은행권 공동 중소기업 금융지원과 더불어 자체적인 종합 금융지원을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금융지원은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성실상환을 위해 노력해 온 중소법인이 대상이다. 약 1만800개 업체(기업대출 약 4조6500억원)가 혜택을 받게 되며 2분기 중 순차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먼저 신한은행은 대출 만기연장 시 금리가 7%를 초과하는 취약 중소기업 대출 이자 중 7% 초과분의 최대 3%포인트까지 1년간 고객에게 환급해 준다. 이자 환급액은 ‘특별금융지원’ 명목으로 고객에게 입금될 예정이며, 지난해 12월 기준 약 3200개 업체(기업대출 약 8500억원)가 지원 대상이다.
예를 들어 대출 만기연장 시점에 적용금리가 10%라면 7%초과분인 3%포인트 만큼의 이자가, 9%라면 7%초과분인 2%포인트 만큼의 이자가 고객에게 환급돼 실제 납부 이자율은 7%가 된다.
또 신한은행은 변동금리 기업대출을 사용하고 있는 취약 중소기업에게 낮은 고정금리로 대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이미 시장금리가 높아진 만기시점에서 고정금리를 재산출하지 않고 연기 전 적용중인 변동금리 수준의 고정금리를 1년간 적용해 추가 이자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신한은행은 대내외 경기둔화, 매출 감소 등에 따른 급격한 신용등급 하락으로 금리 상승을 우려하는 취약 중소기업도 지원한다. 대출 만기 연장시 신용등급 영향으로 인해 인상되는 금리를 최대 1%포인트까지 인하할 계획이며, 인상 폭도 최고 3%포인트로 제한해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을 최대한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원금상환이나 이자납부가 어려워 연체가 발생하는 기업들은 빠른 정상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모든 중소기업의 연체 가산금리를 2%포인트 인하한다. 기존에 3%였던 기업대출 연체 가산금리를 1%로 대폭 인하해 유동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중소기업이 하루라도 빨리 연체를 극복해 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한은행은 취약 중소기업 대출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기업 포괄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대출의 장기분할대환, 원금상환유예, 이자유예 등 기업 상황에 따른 맞춤형 상환방법을 제시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대내외 경기둔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 부담으로 어려운 중소기업들 위기극복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취약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준비했다"며 "다양한 취약 계층 가계대출 프로그램과 취약 중소기업의 금융지원을 통해 고객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