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양천구 목동우성아파트가 지난 27일 리모델링 안전진단을 통과했다. 사진=김기령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 완화에 힘입어 서울에서 오랜만에 리모델링 안전진단 통과 단지가 나왔다. 양천구 목동우성아파트가 안전진단을 통과함에 따라 서울 내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도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서울 양천구 목동우성아파트 리모델링주택조합에 따르면 지난 27일 양천구청이 조합 측에 수평증축 리모델링 안전진단 통과를 통보했다.
◇ 수평증축으로 332가구에서 361가구로
목동우성은 이번 안전진단 평가에서 C등급을 받아 수평증축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리모델링은 증축방식에 따라 수직증축과 수평증축으로 나뉘는데 A~E등급으로 분류되는 안전진단에서 B등급 이상 받으면 수직증축이, C등급 이상 받으면 수평증축이 가능하다.
수직증축의 경우 1차 안전진단에서 통과한 이후 2차 안전진단과 안전성 검토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수평증축은 1차 안전진단만 진행돼 사업 속도가 빠른 편이다.
김유진 목동우성아파트 리모델링주택조합장은 "이번에 안전진단을 통과했기 때문에 다음 단계인 건축 심의와 교통영향평가 접수는 내년 1월 중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목동우성은 1992년 준공된 단지로 지하철 9호선 신목동역과 가깝고 용왕산근린공원을 끼고 있다. 해당 단지는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기존 지하 1층~지상 15층, 332가구에서 지하 5층~지상 16층, 총 361가구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시공사는 GS건설이다.
공공기여를 통한 용적률 완화도 추진된다. 지난해 말 서울시가 발표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재정비안’을 토대로 공공상가를 대로변으로 빼서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개방하는 등 공공성을 높이고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을 예정이다.
◇ "재건축 활성화 정책에 밀리지 않아야"
지난 정부에서 재건축 규제를 강화하면서 리모델링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1980~90년대에 지어 준공한 지 30년이 넘는 노후 단지들을 중심으로 지지부진한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택하면서다. 한국리모델링협회에 따르면 서울에서만 약 70개 단지에서 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수도권으로 규모를 확대하면 130여곳이 넘는 규모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최근 리모델링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금리 인상 기조와 새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 등이 리모델링 사업에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모델링 조합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재건축 활성화 정책에 밀려 리모델링 시장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재건축을 추진할 수 없는 단지들이 리모델링을 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리모델링을 정비사업의 한 축으로 인식하고 리모델링에 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며 "하수도 배관이나 엘리베이터 노후화, 지하 주차장 부족 등의 문제는 리모델링 사업 속도가 더딜수록 더욱 증가해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라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