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한국의 우주개발사업, '화합'과 '협력'이 최우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19 15:13

이승주 산업부 기자

이승주

▲이승주 산업부 기자.


한국의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지난 17일 달 궤도 안착을 위한 1차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정상 수행했다. 1차 진입기동은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포획돼 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핵심 임무다. 지난 8월 여정을 시작한 다누리의 최종 성공 여부는 이달 29일 판가름난다.

한국은 지난 6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성공과 함께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세계 7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이에 정부는 우주산업 컨트롤타워인 ‘우주항공청’ 설립을 추진하고 체계종합기업을 선정하는 등 민간기업 주도 우주개발 체제인 ‘뉴스페이스’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정부의 우주개발사업 성공의 달콤함도 잠시, 벌써 불협화음이 들린다. 지난 12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발사체연구소를 신설하고 산하에 2실, 6부, 2사업단을 두는 내용의 조직 개편안을 내놨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차세대발사체사업단’이 신설되고, 누리호 프로젝트를 이끌어온 한국형 발사체개발사업본부(발사체본부)는 내년 6월까지만 존속된다.

이에 고정환 항우연 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과 부서장 5명은 사퇴 의사를 밝혔다. 고 본부장은 "항우연은 조직개편을 공표해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연구개발 조직을 사실상 해체했다"며 "250여 명이 근무하는 발사체본부는 이번 조직개편으로 본부장 1명과 사무국 행정요원 5명만 남게됐다"고 주장했다.

이런 추진체계로는 누리호 3차 발사, 산업체로의 기술이전 등 국가적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발사체본부는 나로호의 실패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항우연에서 독립시켜 만든 조직으로, 항우연과 내부 인사권을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항우연은 이번 개편을 ‘조직 효율화 차원’이라고 해명했지만, ‘내홍’을 미리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산업계도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우주관련 산업계는 "선진국에 비해 이미 수십 년 뒤쳐져 있는 한국의 우주산업이 가속력을 얻기 위해서는 모든 관련 기관이 노력해야 한다"이라고 주장해왔다.

항우연은 향후 네 차례 누리호 추가 발사를 통해 민간으로 기술을 이전하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을 앞두고 있다. 이 사업에 편성된 예산만해도 6873억원이다. 정부 기관과 민간기업의 연구원들은 우주개발사업이라는 공통된 지향점을 바라보고 있다. 성공적인 우주사업 진흥을 위해서는 이들의 화합과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