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핵심 경영전략. 자료=중소기업중앙회 |
1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2년 중소기업 경영실태 및 2023년 경영계획 조사’(중소기업 410개사 대상)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절반 이상(53.2%)이 2022년 경영환경을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그저 그러하다’는 기업과 ‘어렵지 않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각각 35.4%, 11.6%로 집계됐다.
경영이 어려웠던 요인으로는 ‘수요위축’(57.3%)이 가장 많았고, △‘금리인상’(42.7%) △‘인건비 상승’(28.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22년 한 해 동안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자구노력으로, 중소기업 10곳 중 6곳(59.8%)이 ‘비용절감 및 구조조정’을 응답했고, 뒤이어 △‘거래선(영업·홍보) 확대’(51.5%) △‘자금 조달처 확대’(26.8%) 순으로 나타났다.
올 한 해 가장 유용했던 정부(지자체) 정책은 ‘세금감면·납부유예’(29.3%)를 꼽았다. 이어 △‘대출만기 유예·연장’(22.2%) △‘소상공인 손실보전’(16.1%)의 순서로 집계됐다.
내년 경영환경에 대해 응답기업의 61.5%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해 내년에도 경영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악화를 예상한 기업은 26.3%, 개선될 것이라는 기업은 12.2%로 나타났다.
응답기업들은 내년 핵심 경영전략으로 ‘원가절감 및 긴축’(6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34.9%) △‘신규판로 확대’(31.5%) 등이 뒤를 이었다.
2023년 중소기업 경영안정과 성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금융비용 부담 완화’(68.8%)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판로 및 수출지원 확대’(33.2%) △‘규제개선’(32.7%)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내년에도 복합경제 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 중소기업 경영안정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최우선 정책으로 금융비용 부담완화가 꼽힌 만큼, 저금리 대출 전환 등 부채 연착륙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hay10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