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beauty@ekn.kr

김아름기자 기사모음




"수출기업 90%, 자금사정 6개월 이내 개선 어려울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05 11:00

전경련, 매출 1000대 수출기업 대상 자금사정 인식조사

2

▲전국경제인연합회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수출 기업의 약 3분의 1 정도가 지난해에 비해 올해 자금사정 악화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현재 자금조달 사정이 향후 6개월 이내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수출기업(100개사) 대상 ‘자금조달 사정 인식조사’를 한 결과, 국내 수출기업 10곳 중 9곳이 향후 6개월 이내에 자금조달 사정이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자금조달 상황 개선 시점에 대한 질문에 △자금조달 상황이 ‘당분간 개선되기 어렵다’는 응답이 42%를 기록했다. 이어 △내년 4분기(25%) △내년 3분기(23%) 순이었다.

반면 내년 상반기 안에 자금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비율은 10%로, 현 자금조달 사정이 단기간 내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 대비 현재의 자금조달 사정에 대한 질문에 조사대상 기업의 29%가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특히, 철강(50%)과 일반기계(44.5%), 자동차(33.3%) 업종은 전년 대비 자금사정이 악화된 기업의 비중이 전 업종(29%)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이들 업종이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침체, 고환율·고물가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 경영환경 악화에 대출 금리까지 계속 오르며 자금조달 부담이 특히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금조달 방식에 대한 질문에는 △은행 대출(43.4%) △내부자금 조달(21.4%) △회사채 발행(14.3%) △정부 지원금(14.0%)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5%)은 현 자금조달 상황에 가장 부정적인 요인으로 ‘은행 대출금리 상승’을 지목해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급격한 금리상승이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조달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 ‘금리인상 속도 조절’(2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책금융 지원 확대’(18.3%), ‘장기 자금조달 지원’(18.0%)도 주요 과제로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단기자금시장 경색 상황이 쉽게 풀리지 않고 기업대출 금리 상승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황에서 3중고를 겪고 있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대내외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금리인상에 신중을 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자금경색에 놓인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