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경련 |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내 투자계획’(100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8.0%가 내년도 투자계획이 없거나(10.0%)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38.0%)고 답변했다.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52.0%에 그쳤다.
특히,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52.0%)의 내년도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과반(67.3%)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투자 축소(19.2%)가 확대(13.5%)보다 많아 전반적으로 내년 투자실적이 올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먼저, 기업들은 내년도 투자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금융시장 경색 및 자금조달 애로(28.6%)’를 꼽았다. 그 외 ‘원/달러 환율상승(18.6%)’, ‘내수시장 위축(17.6%)’ 등도 뒤를 이었다.
실제로 기업들은 이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금리의 급격한 상승주1)으로, 투자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내년도 투자규모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미래비전 확보(52.4%)’, ‘업계 내 경쟁 심화(19.0%)’, ‘불황기 적극적인 투자로 경쟁력 강화 도모(14.3%)’ 등을 투자 확대의 주요 이유로 지적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해서는, 기업 과반(64.0%)이 2023년 하반기 이후로 응답했으며, ‘기약 없음’을 선택한 응답 비중도 26.0%에 달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을 2023년 상반기로 내다보는 응답 비중은 5.0%에 불과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 비중은 ‘2023년 하반기 (29.0%)’, ‘기약 없음(26.0%)’, ‘2024년 상반기(24.0%)’, ‘2024년 하반기(11.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외 기업들은 2023년 투자활동을 저해하는 양대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 둔화(29.1%)’와 ‘환율 상승세 지속(21.3%)’을 꼽았다.
전경련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고환율 지속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에 직면할 경우 수익성 악화로 투자여력이 반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업들이 바라는 국내 투자 활성화 과제론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24.6%)’과 ‘자금조달 시장 활성화(22.0%)’, ‘기업규제 완화(14.7%)’ 등이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금리인상에 따라 시중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경우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되고 투자자금 조달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적극적인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사전에 강구하여 자금시장 경색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