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5.0%…한 달 만에 상승폭 0.7%p 축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02 08:28
소비자물가 두달째 오르나… 주목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0% 올랐다. 상승률로는 지난 4월(4.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까지 오른 뒤 8월 5.7%, 9월 5.6%로 낮아졌다. 그러나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10월엔 5.7%로 오름폭을 확대한 바 있다.

지난 10월을 제외하면 7월을 정점으로 물가 상승세가 점차 둔화하는 양상이다. 지난달의 경우 1개월 만에 상승폭이 0.7%포인트 하락했다. 그럼에도 지난 5월(5.4%) 이후 여전히 5%대가 이어지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0.3% 올라 전월(5.2%)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농산물이 2.0% 하락했다.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하락한 건 지난 5월(-0.6%) 이후 처음이다. 채소류가 2.7% 하락했다.

축산물은 1.1%, 수산물은 6.8% 각각 올랐다.

농축수산물의 전체 물가에 대한 기여도는 10월 0.46%포인트에서 0.03%포인트로 낮아졌다.

공업제품은 5.9% 올라 전월(6.3%)보다 둔화하는 양상이 이어졌다. 석유류가 5.6%, 가공식품이 9.4% 각각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를 정점으로 7월 35.1%, 10월 10.7%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전기·가스·수도는 23.1% 상승해 전월 상승률(23.1%)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지난 10월 공공요금 인상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6.4%)보다 둔화했다.

외식이 8.6%, 외식외 개인서비스가 4.5% 각각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4.8%로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4.5%) 이후 가장 높았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라 전월(6.5%)보다 둔화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그리고 전기·가스·수도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라며 "다만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많이 둔화하며 상승 폭은 전월에 비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