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韓, 혁신·제조 경쟁력 우수하나 노동·환경 분야 개선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23 11:00

한국무역협회 '세계속의 대한민국 2022’ 통계…국가 이미지 5위로 상승

무협1

▲국민계정·제조산업 부문 국가경쟁력. 자료=무협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우리나라의 혁신·제조 경쟁력은 우수하나 노동·환경 분야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3일 발표한 ‘세계속의 대한민국(2022)’ 통계집에 따르면 코로나19 전후 부문별 국가경쟁력 비교해본 결과, 우리나라는 연구개발(5위)·혁신(1위) 부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기업가정신·국제경쟁력(27위)은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19∼2021년 동안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12위에서 10위로 상승했으며, 1인당 GDP는 30위에서 29위로 상승했다. 제조업 지표에서는 반도체 매출, 휴대폰 출하량 부문에서 한국이 세계 1위에 오른 가운데, 기타 품목에서도 대체로 5위 이내 순위를 유지했다.

연구·혁신 부문에서는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나 고급인력 유치 및 기업가정신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투자(5위),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2위) 등이 높은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외국인직접투자(FDI)도 2019년 대비 6계단 상승한 24위를 기록했다. 또한 혁신부문에서 세계혁신지수가 10위에서 5위로, 블룸버그 혁신지수는 2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반면 ‘해외고급인력 유인지수’는 43위에서 49위로 내려앉았고 ‘기업가 정신’도 5계단 하락한 50위에 그쳤다.

무협2

▲국가이미지 및 대외경재력·환경 부문 국가경쟁력. 자료=무협

국가경쟁력 부문에서는 국가이미지는 개선되는 반면, 경제주체인 기업과 정부의 운영 효율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 이미지는 2020년 13위에서 올해 5위로 뛰어올랐고, 경제자유도도 25위에서 19위로 상승하는 등 대외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향상됐다. 다만, 정부·기업의 운영 효율과 경제성과를 종합한 IMD 국제경쟁력 지표는 23위(79.2점)에서 27위(75.6점)으로 하락하고, 투명성 지수도 32위에서 38위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 분야에선 보다 적극적인 그린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봤다. 지후재난건수와 환경오염 영향도, 환경정책 엄격도 등 지표에서 대부분 지표가 떨어지며 환경오염의 부정적 영향이 실화되고, 탄소감축은 더뎌 타국 대비 기후위기 대응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고용 부문에서는 노동시간 및 청년 실업률 등 양적 지표는 개선된 반면, 인건비 및 노동생산성 등 질적 지표는 하락했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코로나19 이후 한국은 우수한 제조 경쟁력을 바탕으로 연구개발·혁신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인구·노동 구조 및 기후위기 대응이 미흡하고 국가경쟁력 및 기업가정신이 약화되고 있어 경제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그린 전환 가속화에 동참하는 한편, 노동생산성 및 정부·기업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국제경쟁력과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