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철훈 성장산업부 기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출근길 서울지하철 탑승 시위의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고 있다.
지난 9월 5일 태풍 ‘힌남노’ 북상 때와 지난달 하순 이태원 10.29참사 때 한 주씩 중단했고,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을 앞두고 이달 14일부터 17일까지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잠정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9월 5일 중단 결정은 당일 아침 탑승 시위 직전 삼각지역 승강장에서 전격 발표됐고, 10.29참사 애도기간이 끝난 뒤 종전까지 매주 월요일에 하던 시위를 이달 7∼11일 매일 시위로 늘렸다.
그동안 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에 시민과 당국은 ‘대체로 인내’하는 모습이었다. 서울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가 전장연을 상대로 제기한 민·형사 소송도 민사법원인 서울중앙지법이 피고인 전장연이 사회약자라는 점을 감안해 지난달 양자 합의를 유도하는 ‘조정’ 절차에 회부했고, 경찰 역시 업무방해 등 범죄 여부를 아직 ‘수사’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10.29참사 이후 시민들의 인내가 한계에 다다른 분위기다. 애도기간이 끝난 뒤 전장연이 시위 재개를 예고했을 때 전장연의 SNS 계정에는 시위를 강하게 비판하는 댓글들이 줄지어 올라왔다. 참사 이후 밀집공간 안전사고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지하철 시위를 강행하는 전장연을 바라보는 시선이 급격히 싸늘해진 것이다.
태풍 피해자, 10.29참사 유가족, 수능 수험생을 배려한다면서 일반시민의 안전사고 위험은 외면하겠다는 이중적 태도로 비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가 갈수록 시민들로부터 공감을 잃어가고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전장연은 수능일까지 시위를 유보하는 또다른 명분으로 지난 10일 국회 상임위원회인 보건복지위원회가 장애인 활동지원비 등 정부 예산안을 6000억원 이상 증액하기로 의결한 것에 환영의 의미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국회의 장애인 활동지원비 증액은 절차상 정부 동의 과정이 남아있다. 정부가 동의하지 않거나 삭감할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전장연은 또다시 지하철 시위를 벌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난해 12월 3일 세계장애인의 날을 기점으로 전장연이 지하철 출근길 시위를 시작한 지 벌써 1년이 다가오고 있다. 장애인 권리증진에 나서는 전장연의 의도에 손가락질할 국민은 없을 것이다.
전장연은 이제 시민의 불편을 볼모로 근 1년간 이어지고 있는 출근길 시위를 접고 다른 시민과 함께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