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전 전력연구원이 개최한 해상풍력 수산업 공존 다부처 협의체 발족식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 및 제 3차 에너지 기본계획 등의 정책에 따라 해상풍력의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12.5GW의 해상풍력 설치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해상풍력이 기존 수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역 어민과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수용성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작한 해상풍력 수산업 공존기술 개발사업은 산업부와 해수부가 공동으로 기획, 풍력분야 최초로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해상풍력단지의 개발과 기존 어업활동의 공간이 중복되며 발생하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존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전력연구원 컨소시엄은 산업부의 지원으로 ‘공존 적합 해상풍력 단지설계 및 수중소음 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 발전단지 개발자의 입장에서 요구되는 공존단지 설계 및 운영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다른 협력체인 군산대 컨소시엄은 해수부 지원의 ‘해상풍력 친화 수산업 융합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부처 간 역할에 맞는 전문 기술을 각각 개발하는 동시에 연구성과의 실용성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협업 및 기술교류를 통해 해상풍력 사업자와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해상풍력의 사업주기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을 예측, 정확하게 평가할 방침이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상풍력 개발과 지역주민의 수산업 활동 간의 상생을 위한 연구는 해상풍력 개발 입장에서 수행되다 보니 지역주민 의견 수렴이 쉽지 않았다"며 "다부처 사업을 통해 역할을 나누고 양 측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며 협업하게 되어 연구개발 시너지 효과 및 주민과의 원활한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