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SK지오센트릭,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글로벌 진출 박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27 10:34

美 PCT와 지분 공동투자 및 합작법인 설립 계약 체결

SK지오센트릭 퓨어사이클사와 JVA 체결

▲서울 종로구 SK그림캠퍼스에서 화상으로 진행된 합작법인 체결식에서 나경수(왼쪽) SK지오센트릭 사장(왼쪽)과 더스틴올슨 美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 CE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SK지오센트릭이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글로벌 확장을 빠른 속도로 구체화하고 있다.

SK지오센트릭은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PCT)와 울산에 폴리프로필렌(PP) 화학적 재활용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합작법인 계약(JVA)을 최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합작법인에 50대50으로 각각 지분 투자해 오는 2025년 2분기까지 공장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은 시장개발과 전략수립 관련 마케팅, 영업, 공정관리 등 전반적인 운영을 맡는다. PCT는 초고순도 재생 PP 추출 관련 기술을 제휴한다.

식품 포장용기,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PP는 냄새와 불순물 제거가 어려워 대부분 소각 또는 매립하는 실정이다. PCT는 폐플라스틱에서 오염물질과 냄새, 색을 제거한 초고순도 재생 PP를 뽑아내는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세계에서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합작법인 체결로 아시아 최초의 화학적 재활용 PP 상업생산 시작에 나선다. SK지오센트릭은 국내 독점 판매권을 보유하며 중국 및 동남아 주요 국가의 사업권도 확보하고 있다.

SK지오센트릭은 중국 최대 가전기업 하이얼(Haier)과도 PP등 폐플라스틱 재활용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하이얼은 세계적인 가전업체로 지난해 약 43조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양사는 폐가전에서 나오는 PP등 플라스틱을 확보,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SK지오센트릭은 품질관리와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하이얼은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맡는다.

추후 양사는 자동차, 생활계 포장재 등 협력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중국 내 재활용 사업 인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단계적인 협업을 통해 중국 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방안 또한 검토 중이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한국 기업이 글로벌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소각, 매립되는 플라스틱을 줄이고 탄소감축에도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