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美 연준 "기준금리 제약적인 수준으로 올려야"…'속도조절론'도 언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13 09:17
USA-FED/OUTLOOK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공행진하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제약적인 수준에 유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세가 진정되기 전까지 통화긴축 정책을 이어나가겠다는 것으로, 11월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한 번의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확실해지는 분위기다.

다만 일부 위원들은 그동안의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긴축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면서 ‘속도조절론’에 대한 낙관론도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12일(현지시간) 9월 FOMC 의사록을 공개했다.

연준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대가가 너무 적극적으로 대체하는 대가보다 더 크다고 강조했다. 긴축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것이 안 하는 것보다 낫다는 평가다.

의사록은 또 "위원회가 최대 고용과 가격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더욱 제약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유지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FOMC 위원들은 이어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에 있다"며 "인플레이션 지표가 대체로 예상보다 높았고 물가 상승률도 예상했던 것보다 더 느리게 내려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11월 FOMC에서도 기준금리 75bp(1bp=0.01%포인트) 인상이 유력해졌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매크로 퍼스펙티브의 줄리아 코로나도 창립자는 "11월에 인상 폭을 낮추기 위한 장벽이 높다"며 "연준은 이를 위한 자료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트레이더들은 기준금리가 75bp 인상될 확률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위원회 일각에서는 과도한 긴축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을 근거로 금리인상에 속도조절이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의사록은 "현재 글로벌 경제와 금융 환경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추가 통화긴축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밝혔다. 과도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리스크들을 인정한 셈이다.

연준은 지난달 FOMC 정례회의 이후 발표한 점도표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올해말과 내년에 각각 4.4%, 4.6%까지 오를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와 관련, 코로나도는 "통화정책이 12월 정례회의 이후에는 시장 압박 또는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징후들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언스트앤영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 역시 "리스크에 대한 균형이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제 및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연준으로선 통화정책 조정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글로벌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경고가 부상하고 있다. JP모건을 이끄는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늦어도 내년 중반까지 미국과 세계 경제에서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최근 경고한 바 있다.

그럼에도 의사록은 "위원들은 제약적인 스탠스를 의도적으로 취함으로써 높은 물가상승률과 기대 인플레이션이 고착되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동의했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