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로이터/연합) |
연합뉴스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우디 정부와의) 앞으로의 관계에 대해 여러 가지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의회와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대응책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OPEC+는 앞서 지난 5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대면 회의를 열고 11월부터 하루 200만 배럴어치 감산에 나서기호 합의했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감산 폭이다.
미국은 국제유가를 끌어올려 세계적 인플레(물가상승)와 경제난을 심화하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자금 확보를 도울 것이라며 감산을 만류하며 산유국들을 압박했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미국 정치권 일각에선 미국의 전통적 우방이었던 사우디가 노골적으로 러시아의 편을 든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미 의회에서는 불쾌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발언이 잇따랐고, 민주당 소속 일부 하원의원들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미국산 무기 판매를 대폭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놓았다.
내달 8일 미국 중간선거가 임박한 시점에서 휘발유 가격 상승을 유발해 미국 내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정이 나왔다는 점에서 자극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산유국들이 감산 결정을 발표한 직후부터 대응 방안을 고심해 왔으나 아직 구체적으로 어떤 대응에 나설지는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 정부가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을 것이라면서 "향후 조처를 결정하면서 국익을 염두에 둔 채 이번 사안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와 밀접히 상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