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 매장 사진.AP/연합뉴스 |
연합뉴스가 시카고 언론과 CNN방송 등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 켐친스키 맥도날드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시카고 경제클럽’(ECC) 행사에서 "일부 구역으로 제한됐던 범죄가 도시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매장 운영과 인력 운용에 지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켐친스키 사장은 보잉, 캐터필러, 시타델 등 대형 기업이 최근 잇따라 시카고에서 본사를 이전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도 거론했다.
그는 "다른 주지사, 시장들에게 본사 이전 제안을 받고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맥도날드 본사는 직원 수만 2000여명 규모다. 다만 켐친스키 사장은 본사 이전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재택근무에서 출근 근무로 전환하라는 통보를 받은 한 직원은 ‘시카고 도심으로 출근하는 것이 안전한 지 확신이 없다’는 답을 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어 "요즘 어딜 가든지 ‘시카고 대체 왜 그래’라는 같은 질문을 받는다"며 "시카고시가 위기에 처했다는 인식이 확대되는 듯해 시카고 주민으로서 자부심이 상처 받는다"고 말했다.
또 "매장 안에서 폭력 범죄가 일어나고 노숙자와 약물 중독자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며 "우리 사회 전반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매장에서 매일 확인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시키고 시 당국은 범죄를 억제하기 위한 어떤 계획도 없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지난 5월 시카고 도심 번화가 맥도날드 매장에서는 패싸움이 총격으로 이어져 2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앞서 스타벅스는 지난 7월 "매장 내 마약, 폭력 관련 범죄가 늘어 고객과 직원 안전에 우려가 제기됐다"며 시애틀,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16개 매장을 영구 폐쇄한 적 있다.
시카고시 경찰청에 따르면 2021년 살인(797건)은 전년 대비 3%, 성범죄(2069건)은 27%, 절도(약 1만 3000건)는 21% 증가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