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6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강세민

semin3824@ekn.kr

강세민기자 기사모음




[기획②] ‘원전’ vs ‘BIPV’(건물일체형태양광)··· 공존 가능할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7.26 10:20
[기획②] ‘핵연료’ vs ‘BIPV’(건물일체형태양광)··· 공

▲최근 쓰임새가 다양한 보도블럭형BIPV(사진 왼쪽)와 서울도봉구 청사에 설치된 외벽형BIPV(사진 오른쪽) 등 BIPV에 대한 제품 개발이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 사진=서울시·한축테크.

[부산=에너지경제신문 강세민 기자] 기후 위기에 대한 세계인들의 걱정과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탄소배출 제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사용, △숲 보전, △지속가능한 도시의 육성과 각 국의 대표기업들이 생존에 사활을 거는 이유도 ‘기후 위기’가 미래의 일이 아니다.

에너지경제신문부울경은 지난 보도 ‘BIPV(건물일체형태양광), 뛰는 서울시 vs 꿈뜬 부산시.. RE100에 사활 건 기업’(2022.07.15.)에 이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지상·해상풍력 및 태양광(건물일체형태양광(BIPV), 수소연료전지, 지열 등)의 공생과 특히 ‘2030세계등록엑스포’ 유치에 뛰어든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친환경에너지 도시’로 탈바꿈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본다.

■ ‘원전’이 친환경인가?

RE100(신재생에너지 100%로 제품 생산)에 기업이 사활을 거는 이유에 대해 지난 기사에서 언급한 바 있다. 향후 ‘원전’이 친환경으로 인정받을 경우 사실 기업의 걱정거리는 한순간에 사라진다.

그러나 ‘원전’이 친환경에너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달려있다.

EU의회가 "2050년까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는 우리가 시기상 실현하기 어려운 조항을 걸었기 때문이다.

국내 원전은 1976년 가동 후 △1983년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논의, △2009년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법적 근거 마련, △2013년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출범 등의 숱한 과정을 거쳤지만 아직 시작인 ‘부지선정’ 문제에도 접근하지 못한 실정이다.

26일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전문가 A 씨는 "부지선정 작업은 지금 시작해도 그 과정에만 12년 정도 소요된다. 이어 지질연구, 공법, 안전성 평가, 대규모 건설 등 사실상 우리가 2050년까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건설한다는 것은 어렵다."라고 주장했다.

처분장 건설 후 10만년을 보관해야하는 장소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다고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사용후핵연료를 발전소 내 냉각재로 채운 임시저장시설에서 저장 및 관리를 하고 있다. 포화시기가 곧 다가온다.

미국을 비롯한 원전국가들 상황도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도 부지를 선정하는데 골머리를 앓고 있다.

따라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 확보와 건설 없이는 ‘원전’이 친환경으로 인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잘 아는 기업의 대안은 ‘RE100’(신재생에너지 100%로 제품 생산)에 동참하는 것이다.

■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미룰 수 없는 이유?

기업뿐만 아니라 각 정부와 광역단체들도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냉·온탕을 오간다.

국내 한 기업이 정부 허가에도 부산에 ‘해상풍력’(해운대청사포)을 계획을 하고 있지만 해당 기초단체의 ‘점사용 허가’ 불허와 일부 환경시민단체와 주민 반대에 부딪혀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

반면, 서울시의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실증사업, 광주광역시의 공공건축물 그린뉴딜사업 확대(BIPV 등 에너지자립율 100% 이상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달성) 등 나름 광역단체 차원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A 씨는 "지난 정부가 추구했던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은 절반의 성공이다. 원전산업 생태계를 후퇴시킨 측면도 분명 있다. 또 저렴한 중국산 태양광패널(PV)이 온 산을 뒤덮은 것은 매우 아쉬운 부문이다"라며 다만, "현 정부도 이를 또 다시 반대 정책으로 일관한다면 산업현장에 주는 혼란은 극에 달할 것이다. 이런 반복되는 과오가 없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소기업들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 친환경에너지 도시 부산... ‘2030세계등록엑스포’ 유치에 큰 힘

최근 대형 건설사(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DL이엔씨)의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참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국내 에너지 연구기관들이 ‘혁신형 SMR 기술개발 과제’로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4000억 원 투입)를 통과한 사실은 뜻 깊다.

여기에 국내 한 대학원생들이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주요에너지원으로, 건물일체형태양광(BIPV)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보조에너지로 탄소 배출 없는 새로운 도시 설계를 제안해 세계적인 탄소 중립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렇듯 기업과 학계 및 연구기관, 정부와 지자체 모두가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산시가 ‘2030세계등록엑스포’ 유치를 꿈꾸고 있다. ‘친환경에너지 도시 부산’ 만큼 매력적인 유인책이 있을까? 부산이 친환경에너지로 미래 도시를 준비하고, 엑스포 유치에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지혜가 필요하다.

semin382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