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3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성철환

cwsung@ekn.kr

성철환기자 기사모음




[EE칼럼] 기상이변 대응한 '기후적응 방안' 서둘러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7.28 10:11

김소희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2021072801001130900046221

▲김소희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기후변화의 속도와 그에 따른 기상이변, 생태계 이변을 그 어느때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시점이다. 매일 전해지는 뉴스를 보면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고 인류가 갈수록 큰 위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6월말 시작된 불볕더위로 캐나다 서부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에서 700여명이 돌연사 했다. 평균기온 45도를 훌쩍 넘겼다. 지난 18일에는 독일과 벨기에 등 서부유럽 일부 지역을 강타한 폭우와 홍수로 현재까지 200여명이 사망했고, 재산피해 규모는 아직 계산조차 못하고 있다.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중국 허난성 정저우에 쏟아진 누적 강수량은 617.1mm로 현재까지 25명이 사망했고, 1만 명 이상이 대피명령을 받았다. 미국 서부 오리건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세력을 키우며 서울의 2.6배에 달하는 면적을 불태우고 있고 아직도 진행형이다. 화재가 너무 커 많은 에너지와 열을 생성하면서 날씨까지 바꾸고 있다고 오리건주 산림국이 전했다.

CNN은 "기후변화가 더 치명적이고 더 파괴적인 산불을 ‘뉴노멀’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지구의 종말을 보는 것 같다는 내용의 외신들을 더 자주 접하고 있다.

최근 한 일간지에서는 기후변화의 나비효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이슈를 다뤘다. 기사에 따르면 국내 양봉 업계는 최근 수년간 극심한 흉작을 겪었고 국내 꿀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아카시아 꿀 생산량은 지난해 2322t으로 평년(2만9160t)의 7.6%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최대 흉작을 기록한 2014년(2592t)보다 낮은 수치고,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생산량도 1만3000t에 그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꿀 흉작의 원인으로 극심한 이상기후를 꼽고 있고 무엇보다 기후변화가 예측 불가능한 게 가장 큰 문제라는 것이다.

배우 안젤리나 졸리는 5월 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꿀벌 6만 마리와 함께 내셔널 지오그래픽 화보를 촬영을 했다. 유엔이 2017년 12월 생태계 균형과 생물 다양성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벌의 이로움을 알리고 보호를 호소하기 위해 지정한 날이다.

세계 자원 연구소가 발간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삶의 질 향상(well-being)은 지구상의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크게 4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토양 형성, 광합성과 같은 지원 서비스 △음식, 물, 연료와 같은 공급서비스 △오염물의 습지 여과, 재해로부터의 보호와 같은 조절 서비스 △미적가치와 같은 문화 서비스 등 이 포함된다.

열대우림 파괴로 탄소흡수원이 감소하고, 기후변화로 산불의 빈도와 강도가 세져 생물다양성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생태계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감안하면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위기는 곧 우리의 삶과 직결된 생존의 문제이다. 생태계는 우리에게 여러차례 위기의 징후를 보내고 있었는데 우리는 여전히 미래의 위기로 치부하며 행동을 미루고 있는 건 아닌지 지속적으로 자문해야 한다.

지구온난화 원인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현재 420ppm이다. 현재 속도라면 임계농도인 450ppm에 도달하는데 20년도 채 걸리지 않을 것 같다. 산업혁명 이후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로 인해 지금부터 급격하게 줄여가도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과학자들이 경고한 임계농도를 넘어선 이후의 심각한 기상이변에 대해서 우리는 그 어떤 것도 예측할 수 없다.

1992년부터 시작된 UN 기후변화회의에서 우리는 기술로 기후변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공유해왔다. 그런데 20년이 지난 지금도 획기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술은 나오지 않았지만, 여전히 기술 중심의 대응 논의는 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탄소중립 실행계획의 대부분이 그러하다. 그래서 자연기반 해결방안에 대한 중요성 높아지고 있는 것은 불행 중 다행이다.

생태계 복원, 산림 관리, 토양 및 해양 복원 등 탄소흡수원을 보전하고 확충하는 것에 대한 가치 재평가가 확산되고 있다. 생태계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곧 기후위기 대응이다. 자연기반 해결 방안의 저비용과 높은 공편익 특성을 강조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확대될 수 있게 정책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

사회 전반의 거대한 변혁으로 온실가스의 획기적 감축을 유도할 수 없다면, 뉴노멀이 된 기상이변에 잘 대응해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기후 적응’ 방안도 동시에 심각하게 실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