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LG·SK 배터리 분쟁 막 내린다...양사 공동합의문 "오늘 발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4.11 10:01
2021041101000480900020551

▲11일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양사는 이번 주말 사이에 합의를 마쳤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를 두고 2여년간 다퉈온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전격적으로 합의했다.

11일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양사는 이번 주말 사이에 합의를 마쳤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날 오전 중으로 양사가 발표할 예정이다.

미 워싱턴포스트(WP)도 이날 사안을 잘 아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양측이 막판 합의에 이르렀다면서 이번 주말 발표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도 3명의 소식통을 인용, 양측이 이날 중 합의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합의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시한 만료를 앞두고 전격으로 나왔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 2월 LG에너지솔루션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낸 영업비밀 침해 분쟁에서 LG측 손을 들어주면서 SK에 10년간 영업비밀 침해 부품 수입 금지를 명했다.

SK측이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는 조지아주 주지사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ITC 결정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요청했으며 일요일인 11일이 거부권 행사 시한이었다.

양측의 이번 합의는 일자리 창출과 미국 내 전기차 공급망 구축을 원하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승리로 평가된다고 WP는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통해 한쪽 편을 들지 않은 채로 막판에 분쟁이 해결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식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동시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기차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터라 어느 쪽 편도 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대통령은 ITC 결정에 대해 60일 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실제 사례는 2013년 8월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 수입을 금지한 ITC 결정을 번복한 것밖에 없었다고 WP는 전했다.

양사가 합의하면서 SK이노베이션에 대한 ITC의 수입금지 조치도 무효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K측의 조지아주 공장 건설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조지아주 공장은 포드와 폭스바겐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WP는 "SK이노베이션은 26억 달러 규모 제조시설의 건설을 완료할 수 있게 됐으며 연말까지 1000명을 고용할 것"이라면서 "2024년까지 2600명의 직원이 30만여 대 전기차를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량생산할 것이고 대부분 포드와 폭스바겐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