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삼성전자가 1분기 9조 3000억원의 영업이익으로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깜짝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기록했다. 공장 가동 중단 등 여파로 반도체 부문이 부진했지만 스마트폰·TV 등이 이를 상쇄한 결과다.
삼성전자는 1분기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9조 3000억원을 달성했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17.48%, 44.19% 증가한 수치다.
매출의 경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66조 9600억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8조 9000억원으로 예상됐던 시장의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당초 예상보다 부진했던 반도체 실적을 코로나19 보복 소비가 늘어난 스마트폰과 TV·가전 등이 만회한 것으로 본다.
특히 1분기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IM) 부문의 예상 영업이익이 4조 3000억원 안팎으로 분기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1월 출시된 갤럭시 S21과 보급형 갤럭시 A시리즈가 인기를 얻은 영향이다. 갤럭시 S21은 출시 57일 만인 지난달 26일 기준으로 판매량이 100만대를 돌파하며 순항하고 있다. 수익성이 뛰어난 갤럭시 버즈 등 웨어러블 제품의 매출 증가도 영업이익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TV를 포함한 소비자 가전 부문도 코로나19의 ‘펜트업(억눌린)’, ‘집콕’ 수요 덕분에 작년 말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연초 네오 QLED 등 고가의 신제품 출시로 기존 프리미엄 QLED TV와 LCD TV의 프로모션을 강화하면서 판매 증대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특히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가 신혼부부 등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고, 최근 해외 판매를 본격화한 것도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TV와 생활가전이 포함된 소비자 가전(CE) 부문의 1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에 육박했다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의 1분기 영업이익은 3조 5000억∼3조 60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미국 오스틴공장 가동 중단 등 여파로 지난해 1분기(4조 1200억원)보다 성적이 떨어졌다.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에서 매출 기준 3000억원 안팎의 손실이 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2분기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D램 가격 상승이 2분기부터 본격 반영되고 낸드플래시도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2분기에는 반도체가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분기와는 반대로 신제품이 없는 스마트폰 부문 실적을 반도체가 만회해줄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