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집콕에 늘어난 폐플라스틱 해결 소각 뿐?…탄소배출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1.17 10:54

지난해 코로나로 플라스틱 배출량 전년比 14.6%↑
재활용 선별장 "플라스틱 적재량 늘어나는 중"

폐플라스틱

▲쌓여있는 폐플라스틱(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코로나19에 따른 ‘집콕족’로 플라스틱 배출량이 늘어나자 지구온난화 가속화의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아 태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재택과 거리두기 등으로 배달음식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폐플라스틱 배출량이 늘어났지만 재활용 선별장에 설비나 인력이 부족해 적재량만 높아지고 있다. 재활용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은 소각이나 매립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독성 물질들은 지구온난화를 더 빨리 진행시킨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플라스틱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853만여t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109만t(14.6%)오른 수치다. 재택과 거리두기로 음식배달 이용률이 전년보다 75.1% 늘면서 폐플라스틱 배출량도 덩달아 많아진 셈이다.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은 늘고 있지만 재활용은 원활하지 않는 모습이다. 재활용 선별장의 분류 작업 인력과 설비가 부족해 지난해부터 처리되지 못하고 쌓여가는 폐플라스틱이 늘고 있다.

재활용 선별장 관계자는 "지난 가을부터 처리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이 많아지고 있다"며 "폐플라스틱 배출량에 비해 설비나 인력이 부족해 작업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폐플라스틱 가격이 떨어지면서 적극적인 수거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수거업체들이 재활용업체에게 넘기는 폐플라스틱 가격은 지난해 1kg당 350원에서 60원으로 무려 6분의 1 가까이 뚝 떨어졌다. 더불어 지난해부터 플라스틱 원료인 석유 가격까지 떨어지면서 재활용하는 가격보다 새로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단가가 저렴해졌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지 못할 경우 소각이나 매립을 해야 하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환경을 해치게 된다. 폐플라스틱을 소각하는 과정에서는 다이옥신 같은 독성 물질과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매립할 경우 침출수 등의 과정을 거쳐 독성물질이 지하수나 토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배출된 생활계 플라스틱은 하루 평균 8848t이다. 이 가운데 재활용되는 양은 5018t으로 약 56.7% 차지한다. 소각되는 플라스틱은 하루 평균 2896t으로 전체 배출량의 32.7%다. 매립되는 양은 하루 평균 934t으로 10%다.

그러나 자료에 명시된 재활용률은 실제 재활용이 된 게 아닌 재활용품 선별장에 반입된 숫자다. 즉 통계로 나타난 재활용률보다 실제 재활용에 쓰인 폐플라스틱은 더 적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정부는 지난해 전체 용기류 중 플라스틱 용기의 비율을 현재 47% 수준에서 2025년 38%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이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용기류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생산 용기류 가운데 플라스틱 용기 생산 비율을 설정해 권고하기로 했다.

플라스틱 1회용품 생산·사용을 금지하고 음식 배달용기 두께를 1.2mm에서 1mm로 제한한다. 또 무색 페트병을 의무화해 플라스틱 재활용을 확대한다. 바이오 플라스틱 등 대체제도 마련한다. 원천적으로 플라스틱 발생을 낮추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환경계에서는 재활용 시장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국민들은 사용량 자체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환경운동 시민단체 ‘녹색연합’의 허승은 활동가는 "우리가 쓰는 플라스틱이 우리에게 돌아오는 것"이라며 "결국에는 재질을 떠나 일회용 쓰레기를 만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돈이 되면 쓰레기를 수거 처분하고 돈이 되지 않으면 버려지는 방식으로 처리해 온 한계가 현재 쓰레기 문제에서 드러나고 있다"며 "재활용 시장의 흐름에 따라 처리되는 게 아니라 재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행정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