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소비자원이 국내 소비자 3000명을 대상으로 수입 소비재 소비자후생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은 FTA 15주년을 맞아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응답자 중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를 기록했다.
16개 수입소비재 품목 중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매 만족도는 주류(83.3%)가 가장 높았다. 이어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 순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다만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사후서비스(A/S) 불만 등으로 수입 소비재 구매를 후회하는 경우도 많았다.
소비자원이 FTA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이 같은 이유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며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