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유승

kys@ekn.kr

김유승기자 기사모음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9·7대책 의구심에 시장 불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5 14:00

부동산원 9월 4주차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발표

서울 아파트값 전 주 대비 0.07%p↑…상승폭 확대

6.27 대책 효과↓…9.7 공급책도 효과 미미 영향

부동산원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동안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6·27 부동산 대출 규제 효과가 반감되고 9·7 공급 대책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시장이 불안정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4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올라 전주(0.02%)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서울은 0.12%에서 0.19%로, 수도권은 0.04%에서 0.07%로 상승폭이 커졌다. 지방은 -0.01%로 전주와 동일한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 강북 14개 구는 0.11%에서 0.17%로 상승하며 뚜렷한 오름세를 보였다. 성동구(0.41%→0.59%), 마포구(0.28%→0.43%), 광진구(0.25%→0.35%)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용산구(0.12%→0.28%)와 중구(0.18%→0.27%)도 오름세를 기록했다.


강남 11개 구 역시 0.13%에서 0.20%로 소폭 올랐다. 송파구(0.19%→0.35%)와 양천구(0.19%→0.28%), 영등포구(0.15%→0.24%) 등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실제 상승 거래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반이 오름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6·27 대책 이후 상승폭이 줄어들다 8월 1주차 0.12%에서 0.14%로 반등했다. 이후에도 상승폭이 점차 줄어들다 △9월 1주차 0.08% △2주차 0.09% △3주차 0.12%를 거쳐 4주차에는 0.19%까지 확대됐다.




수도권은 0.06%에서 0.07%로 소폭 상승했다. 인천은 0.00%로 전 주에 이어 보합세를 유지했다. 연수구(-0.03%→-0.02%), 중구(0.01%→-0.02%)등은 하락했다. 동구(0.02%→0.01%)와 미추홀구(0.05%→0.01%) 등은 오름폭이 다소 꺾였으나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기는 0.01%에서 0.03%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성남 분당구(0.34%→0.64%) 과천시(0.19%→0.23%)등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광명시(0.28%→0.24%)는 전 주보다는 오름폭이 줄었다.


반면 지방은 -0.01%로 전 주와 같은 하락세였다. 5대 광역시(-0.02%)는 변동이 없었다. 울산(0.05%→0.07%)과 광주 0.01%→0.03%는 올랐으나, 대구(-0.05%→-0.06%)와 대전(-0.04%→-0.03%)은 하락세를 이어간 영향이다. 세종(0.10% → 0.05%)은 오름폭이 줄었다. 8개 도는 0.00%로 보합세였다.


시도별로는 △전북(0.06%→0.08%) △충북(0.03%→0.04%) 경북 -(0.01→0.01%) 등이 상승했고, 부산(0.00%)은 보합이었다. △제주(-0.04%→-0.05%) △전남(-0.04%) 등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윤지해 부동산R114리서치랩장은 “6.27 대책 발표와 시행 이후 약 3개월이 지나 내성이 쌓였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위축되는 현상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9·7 공급대책에 추가적인 조치가 포함돼 있지만, 실제 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을 뒤로 미루는 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시장 설득에는 난항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이나 금융 등 추가 규제 가능성이 명확하게 보이기 때문에 수요자 입장에서는 마음이 조급해져 선호지역이나 한강 벨트 등 핵심지역의 거래가 먼저 활발해지며 아파트 가격 변동률에도 반영되는 것"이라며 “주택 수 기준에서 벗어나고 투자자와 실수요자의 구분을 명확히 해 규제해야 서울 집값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로 전 주 0.03%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0.07%→0.09%)과 수도권(0.04%→0.06%), 지방(0.01%→0.03%) 모두 상승세였다. 이어 5대 광역시(0.02%→0.04%), 세종(0.14%→0.28%)도 상승했다. 8개 도(0.01%)는 변동이 없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