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청년 유출, 울진의 미래가 흔들린다"
“원전도 살리지 못한 지역경제… 소멸 위기 현실화"
“지속가능한 울진, 무엇으로 가능할까"
울진군은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 청년층의 수도권 이탈이라는 삼중고 속에 지방소멸의 심각한 기로에 서 있다. 원자력 산업과 해양자원 등 풍부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이를 지역 성장 동력으로 연결하지 못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본지는 울진군이 처한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지역사회가 어떤 해법을 마련해야 할지 모색하기 위해 3회에 걸쳐 싣는다.<편집자주>
글싣는 순서
1:인구 절벽에 선 울진, 해법은
2: 원전 의존 경제의 그늘
3: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면

▲사진=울진군청 전경
경북 동해안 울진군은 고령화율이 40%를 넘어선 지역으로, 인구 감소와 경제 구조의 불안정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울진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다양한 정책적 해법을 제시한다.

▲울진군 귀농·귀촌지원센터 개소식 모습
◇ 청년 정착 기반 마련과 경제 체질 개선 울진군의 인구 감소는 청년층 유출과 직결돼 있다. 귀향·귀촌 인구가 정착할 수 있는 주거·일자리·교육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신혼부부 주거 지원, 청년 창업 지원, 귀농·귀촌 맞춤형 프로그램은 인구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사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설명회 모습
울진은 원전 관련 세수 의존도가 높다. 정책 변화와 안전성 논란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재정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농수산물 가공·브랜드화, 해양·바이오 산업 등으로 산업 구조를 다각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사진= 죽변해안스카일레일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 울진은 금강송 숲과 동해 바다 등 천혜의 자원을 갖고 있으나, 관광객 다수가 단기 체류에 머물러 있다.
산림 치유, 해양 레포츠, 생태 체험 등 체류형·체험형 콘텐츠 개발과 사계절형 축제, 스마트 관광 인프라 도입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교육·복지 기반도 흔들 학생 수 감소에 대응한 작은학교 살리기, 원격수업, 특화 교육과정 등은 교육 기반 유지의 열쇠다.
또한 노인 인구 증가에 맞춰 공공 의료 인력 보강, 원격·이동 진료 확대, 돌봄 공동체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인 인구 급증으로 의료·돌봄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전문 인력과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울진군 관계자는 “지방재정 여건상 노인 복지 수요를 충분히 감당하기 어렵다"며 “중앙정부의 추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건강마을을 중심으로 인생회고 프로그램을 운영해 어르신의 마음건강을 챙기는 프로그램이다
◆ 공동체 회복의 중요성 전문가들은 지방소멸 극복의 마지막 열쇠로 공동체 회복을 꼽는다.
주민 주도 마을사업, 세대 간 교류, 로컬 혁신랩 조성 등은 지역사회의 연대와 활력을 강화할 수 있다.
울진군은 청년 귀향, 산업 다변화, 관광 혁신, 복지 강화, 공동체 회복이라는 다섯 가지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한다.
울진이 '원전 의존 도시'에서 '지속가능한 자립 도시'로 전환할 수 있을지는 지금의 전략적 선택과 실천에 달려 있다.
지역 전문가들은 “단순히 인구 수의 감소를 넘어 지역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청년이 돌아올 수 있는 일자리와 교육·주거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