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르포] 1백만마리 생닭 7㎞ 레일따라 ‘에어칠링’…하림 익산공장 가보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7 18:02

익산 하림 ‘닭고기 종합처리센터’ 탐방…국내 최대 도계·가공 기지
여름 성수기 하루 1백만마리 이상 도계…동물복지·스마트공장 적용
도계부터 가공까지 한 곳서 24시간내 처리…“신선함이 맛의 기본”
‘에어칠링’ 냉각으로 닭고기 본연의 풍미 살리고 오염 가능성 차단

하림 닭공장

▲지난 25일 하림 '닭고기 종합처리센터' 전경. 사진=정희순 기자

국민 1명이 1년 동안 소비하는 닭고기는 26마리. 1970년대만 해도 1인당 소비량은 1.4㎏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그보다 11배 이상 늘었다. 온 국민이 치킨과 닭꼬치, 닭갈비, 백숙, 삼계탕을 즐겨 먹은 결과다.


우리나라 닭고기 시장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기업이 바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하림이 지난해 시장에 공급한 닭은 3억3500만 마리로, 도계수 기준 하림의 닭고기 시장점유율은 약 35.4%다.


전북 익산에 자리한 하림의 '닭고기 종합처리센터'(Poultry Processing Complex)는 국내 닭고기 생산의 심장부라 할 수 있다. 국내 최대 규모로 지난 1991년 세워졌는데, 지난 2019년 이를 리모델링해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했다.


세계 최첨단의 도계 및 가공 설비를 갖춘 이곳은 국산 닭고기 품질 경쟁력을 선도하는 국내 시장 '방어기지'이자, 사육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는 '상생기지'이며, 청년 창업농가의 비전 실현을 돕는 '지원기지'라는 것이 하림 측의 설명이다.


닭공장

▲레일에 걸린 닭고기가 7㎞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 하림의 에어칠링 기법이다. 사진제공=하림

지난 25일 기자가 찾은 하림의 '닭고기 종합처리센터'에서는 양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생닭이 끊임없이 도계·가공되고 있었다. 하림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하루 평균 70만 마리, 요즘 같은 성수기엔 100만 마리 이상이 도계된다.




이 과정에서 하림이 자랑하는 기술은 바로 '가스스터닝(Gas stunning)'과 '에어칠링(Air Chilling)' 기술이다. 하림은 본격적인 도계에 앞서 닭을 이산화탄소로 편안하게 재우는 과정을 도입했다. 전기 충격보다 동물 복지에 유리하며, 육질 품질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에어칠링 기술은 닭고기의 신선도, 맛, 위생을 보존하기 위한 하림만의 냉각 공정이다. 레일에 걸린 닭들은 7㎞의 레일을 따라 200분 이상 이동하며 내부 온도가 2℃까지 낮아진다. 실제 에어칠링 과정 직후 생닭의 표면을 만져보니 매우 차가웠다.


하림 관계자는 “일반적인 닭 공정에서는 얼음물에 담그는 '워터 칠링'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닭고기 품질을 떨어트리고 교차 오염의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반면 에어칠링은 닭고기 본연의 풍미가 살아있고 오염 가능성도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생산된 닭고기는 생닭으로 전국에 유통되거나, 추가적인 가공을 거쳐 치킨너겟이나 용가리 치킨, 닭가슴살햄 '챔' 같은 제품 형태로 나오기도 한다. 도계와 가공이 한 공간에서 24시간 안에 이루어져 제품의 신선도에서 차별화를 갖췄다는 게 하림 측의 설명이다.


하림 관계자는 “식품의 본질은 맛이고, 최고의 맛은 신선함에서 나온다는 게 하림의 철학"이라며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가장 신선한 식품을 고객의 식탁에 올리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림

▲하림의 '닭고기 종합처리센터'에 전시된 하림의 닭고기 가공 제품들. 사진=정희순 기자


배너